[Economist] 문 앞의 곰 무리 (Bears at the door)

Bears at the door

Jan 7th 2010 | ESPOO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Can the world’s largest handset-maker regain the initiative?
세계 최대의 핸드셋 제조사가 다시 주도권을 잡을 수 있을까?

Illustration by Claudio Munoz

ASK Finns about their national character and chances are the word sisu will come up. It is an amalgam of steadfastness and diligence, but also courage, recklessness and fierce tenacity. “It takes sisu to stand at the door when the bear is on the other side,” a folk saying goes.

핀란드 사람들에게 그들의 국민성에 대해 물어보면 아마 십중 팔구는 “sisu”라는 단어를 언급할 것이다. 그것은 확고함과 근면함이자 또한 용기, 무모함, 저돌적인 집요함 등을 나타낸다. 한 민요에는 “문 마주편에 곰이 서있을때는 sisu를 가져라” 라는 구절이 있다.

There are plenty of bears these days at the doors of Nokia, the Finnish firm that is the world’s biggest maker of mobile handsets. Although it is still the global leader in the fast-growing market for smart-phones, its devices are losing ground to Apple’s iPhone and to the BlackBerry, made by Research in Motion (RIM). On January 5th Google took a further step into the market with the launch of the Nexus One, a handset made by HTC of Taiwan that the internet giant will sell directly to consumers, and which runs Android, Google’s operating system for smart-phones.

세계 최대의 핀란드 국적 모바일 핸드셋 제조사 노키아의 문 앞에는 최근 엄청난 수의 곰 무리들이 버티고 서있다. 아직 빠르게 성장하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세계 1등 기업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애플의 iPhone이나, RIM 사의 Blackberry 때문에 노키아의 단말기들은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1월 5일, 구글은 그들의 스마트폰을 위한 운영체제 안드로이드를 탑재하고 대만의 HTC사에 의해 제조되는 소비자 직접 판매 방식의 Nexus One 단말을 런칭하면서 스마트폰 시장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

Especially in America, where Apple and RIM reign supreme in the smart-phone market, many already see Nokia as a has-been. Developers are rushing to write programs for the iPhone and for Android, but shun Symbian, Nokia’s rival software platform. And Nokia’s efforts in mobile services, mostly under its Ovi brand, have yet to make much headway.

애플과 RIM이 스마트폰 시장의 절대 강자로 군림하는 미국에서 노키아는 이미 한물 간 것으로  취급된다. 개발자들은 노키아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심비안을 버리고 iPhone과 안드로이드를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몰려들고 있다. 대부분 Ovi 브랜드를 통한 그들의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노력은 아직도 갈길이 멀다.

When the company makes headlines these days, it is thanks to the patent lawsuits it has filed against Apple, which many have interpreted—perhaps unfairly—as an admission of commercial defeat. The latest suit, filed in late December, asks America’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to ban various Apple products, including the iPhone, from entering the country.

노키아가 애플을 상대로 제기한 특허 소송 때문에 연일 헤드라인을 장식하는데, 이는 공정치 않지만 상업적 패배의 시인이라고 해석된다. 가장 최근인 작년 12월의 소송은 미 국제 무역 위원회에 iPhone을 포함한 애플의 상품들을 미국으로 들여오는 것을 금지 시키라고 요청했다.

Nokia beats Apple in annual sales ($57 billion versus $37 billion) and market share in smart-phones (39% versus 17%), but it is much less profitable. In fact, Nokia’s share of industry profits fell from 64% in 2007 to 32% in 2009—not much more than Apple’s and less than RIM’s, according to Brian Modoff, an analyst with Deutsche Bank. Small wonder that Nokia’s market capitalisation is barely a quarter of Apple’s.

노키아는 연 판매량(570억불 vs 370억불)과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38% 대 17%)에서 애플을 앞질렀지만, 수익률 면에서는 훨씬 좋지 않다. Deutsche Bank의 애널리스트 Brian Modoff에 따르면 사실 노키아의 산업 수익 점유율은 2007년의 64%에서 2009년의 32%로 떨어졌고 이는 애플보다 압도적이지 않고 RIM보다 적다. 노키아의 시장 투자 시가총액이 겨우 애플의 1/4이라는 것은 놀라운 것도 아니다. 

Yet in Nokia’s headquarters in Espoo, near Helsinki, morale is far better than one might expect. Hardly anyone would deny that there are problems. But executives insist that they can be overcome. When board members met financial analysts in December, they made some bold predictions. Within a year, promised Olli-Pekka Kallasvuo, the firm’s boss, the ageing Symbian software will have been vastly improved, to enable Nokia to offer “magic devices”. As for services, the goal is to have signed up 300m users by the end of 2011. “I’ve rarely heard such explicit statements,” says Ben Wood of CCS Insight, a long-time Nokia watcher.

아직 헬싱키 근처, 노키아의 본사가 위치한 ESPOO에서의 사기는 예상 된 것보다 훨씬 낫다. 누구도 문제가 있다는 것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임원진들은 그들이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12월, 이사회 멤버들이 재무 애널리스트들을 만났을 때, 몇가지 호기로운 예상을 했다. 노키아의 사장 Olli-Pekka Kallasvuo는 1년 이내에 오래된 심비안 소프트웨어를 대대적으로 발전시켜 노키아에서 “Magic Device”를 출시 하겠다고 약속했다. 서비스를 위해서는 2011년 말까지 3억 가입자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오랜기간 노키아를 관찰해온 CCC Insight의 Ben Wood 는 “그렇게 확고한 단언을 들어본 적이 별로 없었다.”로 말했다.

Nokia has overcome many crises in the past. In 1995 poor logistics caused it to stumble. It responded by developing one of the world’s most efficient supply chains, capable of churning out some 1.2m handsets a day. A decade later it failed to anticipate the demand for “clamshell”-type handsets, but bounced back quickly to restore its market share in handsets to 40% and thus its industry dominance.

노키아는 많은 위기를 극복해 왔다. 1995년에는 물류의 문제가 회사를 휘청이게 만들었다. 이의 결과로 하루에 120만개의 핸드셋을 생산할 수 있는 세계 최고의 공급망을 구축하게 되었다. 10년 후에는 폴더 타입의 핸드셋에 대한 수요를 예측하는데 실패했지만 곧 반등하여 40%의 시장 점유율을 회복할 수 있었고, 산업을 여전히 지배할 수 있었다.

But this time the problems go deeper. In more than one way, Nokia has to become a different company, says Jay Galbraith, a management expert. Until now, it has excelled in making and distributing hardware. This has trained the organisation to focus on planning and logistics. Deadlines are often set 18 months in advance. Teams developing a new device also work in relative isolation and even competitively, to make each product more original. And although Nokia has always done a lot of market research and built phones for every conceivable type of customer, it sells most of its wares to telecoms operators and designs its products to meet their demands.

하지만 이번 문제는 더 심각해 보인다. 매니지먼트 전문가 Jay Galbraith 는 노키아가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 새롭게 거듭나야 한다고 말한다. 지금까지 노키아는 하드웨어의 제작과 유통에 뛰어남을 보여왔다. 이것은 조직을 계획과 물류에 초점을 맞추도록 훈련시켜 왔다. 데드라인은 보통 18개월 정도의 미래에 설정되었다. 고유성을 위해서 팀들은 상대적으로 독립적이고 또 경쟁적으로 새로운 제품을 만들었다. 비록 노키아는 많은 시장 조사를 하고 소비자들의 취향에 맞는 타입의 핸드폰을 만들었지만, 그들 제품 대부분은 통신사에 판매 되었으며 그들의 요구에 맞게 디자인 되었다.

With the rise of the smart-phone, however, software and services are becoming much more important. They require different skills. Development cycles are not counted in quarters and years, but in months or even weeks. New services do not have to be perfect, since they can be improved after their launch if consumers like them. Teams have to collaborate more closely, so that the same services and software can run on different handsets. Nokia also has to establish a direct relationship with its users like Apple’s or Google’s.

하지만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에 따라 소프트웨어와 서비스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다른 기술이 필요하다. 개발 주기는 연, 분기 단위로 셈되지 않고, 월, 심지어 주단위를 필요로 한다. 서비스는 완벽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좋아하기만 한다면 런칭 이후에도 개선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같은 서비스나 소프트웨어가 다른 핸드셋에서도 구동되게 하기 위해서 팀들은 더 긴밀하게 협력해야 한다. 또한 노키아는 구글이나 애플처럼 그들의 고객과 더 직접적인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To Nokia’s credit, it anticipated the shift to software and services much earlier than other handset-makers. It launched Ovi in 2007, almost a year before Apple opened its highly successful App Store. A few months later, Nokia bought Navteq, a maker of digital maps, for a whopping €5.7 billion (then $8.1 billion), to be able to offer better location-based services. Shortly thereafter, Nokia launched Comes With Music, an innovative pairing of a handset with a digital-music subscription.

노키아의 명성대로, 그들은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로의 이동을 다른 핸드셋 제조사보다 훨씬 빨리 예상했다. 애플이 대단히 성공적인 앱스토어를 오픈하기 거의 1년전인 2007년에 그들은 Ovi를 선보였다. 몇 달 후 노키아는 더 나은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해 디지털 지도 제작사인 Navteg을 57억 유로(81억 달러)라는 터무니 없는 가격에 인수했다. 그 직후 노키아는 핸드폰과 디지털 음악 서비스 가입을 묶은 혁신적인 “Comes with Music”을 선보였다.

These efforts have not been great successes, although Nokia says that 86m people now use its various services. The firm is still working at bundling a selection of them into a neat package that is easily accessible from its handsets. Moreover, most of its offerings have to compete against popular incumbents, such as Facebook, Apple’s iTunes store and Google Maps. To further complicate matters, telecoms operators are reluctant to let Nokia offer services directly to their customers, since they want to do the same.

비록 노키아가 밝힌대로 8천 6백만의 사람들이 그들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노력들은 대단한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노키아는 아직도 이들을 선별해서 그들의 핸드셋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돈된 패키지를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다. 게다가, 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 대부분은 페이스북이나 애플의 iTunes, 구글 맵 같은 인기있는 서비스들과 경쟁해야 한다. 한층 더 복잡한 것은, 통신사들이 노키아가 그들의 서비스를 고객에게 직접 제공하는 것을 꺼려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그들도 똑같은 것을 하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Worse, while dealing with these problems, Nokia has seemed to neglect its main business. The first version of its flagship smart-phone, called the N97, was a let-down. It has as many bells and whistles as a Swiss army knife, says Carolina Milanesi of Gartner, a market-research firm, but its software, based on Symbian, makes them almost impossible to use. “It is like having a Ferrari body with a Fiat Cinquecento engine inside,” she says.

더욱 안좋은 것은 이러한 문제들을 처리하느라 노키아가 그들 본연의 일을 망각하고 있는 것 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N97라 불리는 그들의 플래그쉽 스마트폰의 첫번째 버전은 실망스럽다. 그것이 스위스 아미 칼처럼 많은 벨과 휘슬을 가지고 있지만,  심비안에 기반한 탑재 소프트웨어는 그들을 사용하는 것을 거의 불가능하게 만든다고 시장 조사 기관 Gartner의 Carolina Milanesi는 말했다. 그녀는 “마치 패라리의 차체에 Fiat Cinquecento의 엔진을 장착한 것과 같습니다.” 라고 말했다. (역주: Fiat Cinquecento는 최대 1100cc의 배기량을 가진 소형차)

Last February Nokia’s management kicked off what is internally known as a “transformation project” to address all these concerns. “We needed to move faster. We needed to improve our execution. And we needed a tighter coupling of devices and services,” explains Mary McDowell, Nokia’s chief strategist. The firm has since introduced a simpler internal structure, cut its smart-phone portfolio by half, ditched weaker services and begun to increase Ovi’s appeal to developers by allowing them to integrate Nokia’s services into their own applications. While giving Symbian a makeover it is also pushing a new operating system, called Maemo, for the grandest, computer-like smart-phones.

지난 2월 노키아의 경영진은 이러한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변화 프로젝트”라 불리는 것을 시작했다.  “우리는 더 빠르게 움직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업무 수행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기기와 서비스를 더 긴밀히 연결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노키아의 최고 전략 담당 Mary McDowell 이 설명했다. 내부 조직이 간결하게 정비된 탓에, 그들의 스마트폰 단말 종류를 절반으로 줄이고, 취약한 서비스는 중단하고 개발자들에게 Ovi를 통해 노키아의 다른 서비스를 쉽게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게 해서 이를 더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했다. 컴퓨터와 같은 멋진 스마트폰을 위해심비안을 새 단장하고 이를 Maemo라 불리는 새로운 운영체제로 계량하고 있다.

All this will no doubt help Nokia come up with better, if not magic, products. The firm may even reach its goal of 300m users by the end of 2011 because its efforts are not aimed just at rich countries, but at fast-growing emerging economies where Nokia is still king of the hill, such as India. There, services such as Nokia Money, a mobile-payment system, and Life Tools, which supplies farmers with prices and other information, fulfil real needs, says John Delaney of IDC, another market-research firm.

이러한 모든 것들이 노키아가 더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게 하리라는 것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선진국 뿐 아니라 인도 같은 빠르게 성장하는 개발 도상국에서의 제왕적인 위치 덕택에 노키아는 2011년 말까지 3억 이용자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시장 조사 기관 IDC의 John Delaney는 인도에서의 모바일 결제 시스템인 Nokia Money 나, 농부들에게 가격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Life Tool 같은 서비스들은 실제 사용자 요구를 만족 시킨다고 말했다.

Yet it is an entirely different question whether Nokia will manage to dominate the mobile industry once more—not just by handset volumes, but by innovation and profits. The example of the computer industry, in which the centre of gravity began shifting from hardware firms to providers of software and services over two decades ago, is not terribly encouraging: of the industry’s former giants, only IBM really made the shift successfully. Then again, Nokia has reinvented itself many times since its origin in 1865 as a paper mill. That, points out Dan Steinbock, the author of two books on the firm, is thanks not only to sisu, but also to a remarkable willingness to embrace change and diversity. Nokia will need those traits in the years ahead.

하지만 노키아가 핸드셋 판매량이 아닌 혁신이나, 수익률 측면에서 다시한번 모바일 산업을 지배하게 될지는 완전히 다른 문제이다. 산업의 중심이 하드웨어 기업에서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이동했던 20여년 전의 컴퓨터 산업에서의 예는 상당히 고무적이다. 예전의 거대 기업이었던, IBM 만이 이러한 이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그리고 또한, 노키아는 종이 공장이었던 1865년의 설립이래 많은 자기 혁신을 이뤄 왔다. 이러한 것은 “sisu” 뿐이 아닌 변화와 다양성을 포용하는 놀랄만큼의 열성 덕택이라고 노키아에 대한 2권의 책의 저자 Dan Steinbock은 지적했다. 노키아는 미래에는 이러한 특성들이 필요하다.

[Economist] 중국에 퍼지는 위조 휴대전화 (Counterfeit handsets proliferate in China)

Counterfeit handsets proliferate in China
중국에 퍼지는 위조 휴대전화

Talk is cheap
저렴한 통화

Nov 19th 2009 | SHANGHAI 2009년 11월 19일 | 상하이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Chinese firms are making and exporting ever more suspect phones
중국 기업들은 더 많은 위조 휴대전화를 제조, 수출하고 있다.

Imaginechina

CHINESE consumers appear fixated with Apple’s iconic iPhone. It draws throngs of eager buyers in Shanghai’s Xujiahui computer market. Similarly, at the Canton Trade Fair in October, vendors hawking familiar-looking silver and black slabs were convulsed in crowds, in sharp contrast to the deserted booths of rival brands, where lonely salesmen slurped disconsolately at noodles. So how can it be that China Unicom has seen dismal initial sales under its exclusive arrangement to sell the iPhone in China?

중국 소비자들은 애플사의 아이폰에 집착하는 듯이 보인다. 상하이의 Xujiahui 컴퓨터 판매점에는 열성적인 소비자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었다. 이와 유사하게, 10월의 Canton 무역 전시회에서는 익숙한 은색, 검은색 납작판 모양(iPhone의 형태)을 노리는  벤더들이 가득했고, 극명하게 대비되게 그의 쓸쓸한 경쟁자들의 부스는 외로운 세일즈맨이 절망적으로 국수만 먹고 있었다. 차이나 유니콤이 중국에서 획득한 iPhone에 대한 독점 판매권 하에서의 절망적인 초기 판매량을 보면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The explanation lies in China’s huge “grey” market for handsets, which includes some genuine phones imported without the manufacturer’s blessing but is mainly comprised of knock-offs. The iPhones at Xujiahui fall into the former category; those at the trade fair into the latter. Illicit phones comprise a staggering 40% of Chinese firms’ production, and 13% of the world’s, according to iSuppli, a research firm. It reckons China will produce 145m of them this year, up by almost half since 2008. This has hit sales of legal phones.

이에 대한 설명은 중국의 거대한 휴대전화 "회색" 시장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시장에는 제조업체의 허가없이 수입된 정품들도 일부 있지만, 대부분은 모조품들로 이루어져 있다. Xujiahui에서 iPhone은 전자로 분류된다. 앞서 무역 전시회에서의 상품들은 후자로 분류된다. 조사기관 iSuppli에 따르면 놀랍게도 이러한 불법적인 단말들은 중국에서의 단말 제조 중 40%를 차지 하고, 세계적으로 보았을 때 13%를 점유한다. 중국에서는 올해에도 이러한 불법 단말 1억 4500만개가 제조 될 것으로 측정되며, 2008년 이래 거의 50%가 증가했다. 이는 정품 휴대단말의 판매에 큰 타격을 입혀왔다.

Grey-market handsets are often simple and cheap. But legitimate manufacturers remain quite competitive at the bottom of the market, so grey-market firms are increasingly offering more sophisticated devices at dramatic discounts to branded smart-phones, says BDA, a consultancy in Beijing. They have developed distribution networks across the developing world.

회색시장의 휴대전화들은 단순하고 저렴하다. 하지만, 베이징의 컨설팅 기업 BDA에 따르면 합법적인 제조사들도 여전히 저가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회색 시장 기업들은 더욱 더 복잡한 기기를 브랜드 제품의 스마트폰에 비해 훨씬 더 낮은 가격에 납품하고 있다고 한다. 그들은 개발도상국들을 상대로 유통망을 구축해왔다. 

Grey-market manufacturers are not just copycats. Many of them add innovations to the devices they are counterfeiting. Some fake iPhones in China, for example, can take two SIM cards, and thus handle two different numbers through the same handset. Chinese grey-marketeers have secured half the Ghanaian market with phones that can do nifty things like receive television broadcasts, says BDA. In Kenya, Chinese models (including an imitation BlackBerry) feature images and quotes from the country’s favourite grandson, Barack Obama. A model in the shape of a dagger is popular in the Gulf states.

회색 시장 제조사들이 단순히 제품을 카피하는 것만은 아니다. 그들의 상당수는 복제 대상에 비해 더 창의적인 기능을 추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몇몇의 중국에서 복제된 iPhone은 두개의 SIM 카드를 탑제 가능하고 따라서 같은 휴대전화에서 두개의 번호를 사용 가능하다. BDA에 따르면 중국의 회색 시장 판매자들은 TV 방송을 수신하는 등의 멋진 기능을 가진 휴대전화로 가나 시장의 절반을 점유했다. 케냐에서 중국 휴대전화 (블랙베리의 복제품을 포함한) 들은 케냐가 자랑하는 후손 버락 오바마의 이미지나 그가 한 말들을 떠올리게 한다. 단검 모양을 한 제품은 걸프지역에서 인기 있다.

Grey-market manufacturers also pride themselves on their ability to bring models to market quickly. An iPhone clone named a “HiPhone” appeared in China within six months of the release of the original iPhone in America. Security at the factory where iPhones are made in southern China is legendarily tight. In July a man working for Foxconn, one of Apple’s subcontractors, was said to have committed suicide after a prototype he was responsible for disappeared.

회색 시장의 제조업체들은 시장에 발빠르게 새로운 모델을 출시하는데도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 iPhone이 미국 시장에 처음 출시된지 6개월만에 그의 복제품인 "HiPhone"을 출시했다. iPhone이 제조되는 중국 남부의 공장의 보안은 유래없이 삼엄했다. 7월에는 Apple의 하청업체 중 하나인 Foxconn의 한 직원이 그가 책임지던 iPhone 프로토타입의 분실 이후에 자살했다고 전해졌다.

Given their low prices and added features, the spread of grey-market phones might seem unstoppable. But as iSuppli notes, components for the handsets come from brand-name producers which are likely to become less tolerant of pirates. Grey-market phones are beginning to worry governments, like China’s, that make great efforts to police every form of communication, because they lack the identification codes of legitimate phones and are therefore untraceable. But the biggest impediment may simply be a lack of quality control. BDA points out that despite China’s booming exports of grey-market phones, domestic sales have started to fall. Customers have realised that they break easily and come with no guarantees.

저렴한 가격과 추가된 기능들로 회색 시장에서의 휴대단말 확산은 멈출 수 없어 보인다. 하지만 iSuppli에 따르면, 브랜드 제품의 휴대단말들의 부품은 예전 처럼 복제에 대한 안전 장치를 갖추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중국과 같이 모든 형태의 통신을 검열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국가에서는 합법적인 단말과 같이 인식코드가 없는 회색 시장 단말들이 추적이 불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정부 차원의 조치가
취해지고 있다. 하지만, 가장 큰 장애물은 품질 관리의 부재 때문이다. BDA는 이러한 회색 시장 단말들의 폭발적인 수출에도 불구하고, 내수 판매는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소비자들은 이 단말들이 쉽게 망가지고, 보증 수리가 불가능 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