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만들 수 있는 작품이라는 것에 대하여

무엇인가를 즐기게 되면, 무엇인가라면 보통 어떤 다른이의 창작물, 자연스럽게 창작 욕구가 생기기 마련이다. 음악을 들으면 내가 악보 위에 휘갈기면 교향곡이 나올 것 같고, 그림을 보면 내가 캔버스 위에 휘갈기면 박물관에 소장될 것 같고, 또 영화를 보고 나면 내가 영화를 찍는다면 틀림 없이 오스카 상을 받을 것 같고. 뭐 뜬구름 잡는 상상이 모락모락 피어나지만 그 밑에는 무엇인가 창작열이라는 것이 끓어 오른다.

하지만, 조금 더 심취해서 남들의 창작을 두루 섭렵하다 보면, 세상에는 너무나 뛰어난 사람이 많다는 것을 알게되고, 이러한 화려한 작품에 비해서 나의 창조적 상상력은 빈약하기 그지 없다는 것을 깨달아 좌절하게 된다. 내가 모짜르트보다 뛰어나지 못할 확률이 100%에 가까운데, 내가 뭘 만들어서 어디다 쓰겠어.

게다가 이런 나약한 생각따위 신경쓰지 않고 무엇인가를 여차여차 시도한다고 치자. 그렇게 태어난 창작물이 과연 내가 만든 것인지. 아니면 남이 만든 것을 어설프게 짜깁기 한 것은 아닌지. 순전히 내것이라고 말하기도 힘든 상황에 처하기 일쑤다. 음악은 어디서 들었던 것 같고, 그림은 어디서 봤던 것 같고, 글은 왠지 누군가를 따라 한것 같은 냄새가 난다. 원숭이에게 크래파스를 주고 그린 그림보다 내 그림이 나은 것은 내가 ‘인간’ 이기 때문이지 내가 예술적인 상상력이 원숭이보다 뛰어난 것은 또 아닌것 같단 말이지.

순전히 내 힘으로 만든 무엇인가가 세상에 존재할 수 있을지 상상해 보았다. 가능하다면 내 일생의 목표로 삼아도 괜찮을 것 같은 생각이 드는데.

일단 씨를 뿌려서 나무를 키워야 겠다. 물과 햇빛은 누군가 다른이가 만든 것은 아니니까 괜찮을 것 같다. 이를 베어내서 종이를 조금 만들어야겠다. 자연에서 염료를 채취해서 여기다가 무엇을 써보자. 하긴 글자라는 것도 무료 배포되고 있을 뿐이지 과거의 인류가 만들어낸 것이었다면 문제가 된다. 그러면 그림을 그려야 겠다. 그림으로 무엇인가 메시지를 담으면 이것들은 인간 ‘류휘정’의 순수 창작물이 아닐까? 그런데 이 메시지라는 것이 어디에서 왔는지를 추적해보면 이 또한 만만치 않다. 내가 태어날때부터 가지고 있는 생각이라는 것이 존재할까? 내가 교육되고 인간으로 사회화된 내용이 조금도 포함되어있지 않은 메시지라는 것이 어디 있지? 삑. 여기서 막혔다.

내가 로빈슨 크루소가 아닌 이상에야 세상은 역시 다른 사람에 의해 (현대인 혹은 고인) 물질화 되거나 추상화된 산물들의 집합이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이러한 Basic Elements 들의 재조합이지 이미 이러한 Element를 새로 만들거나, 디자인 하는 일 조차도 힘든 상황이다. 너무 레드오션이다. 나는 순수한 창작을 꿈꾸지만 현실은 지루한 LEGO 놀이에 지나지 않는다. 가끔 LEGO로라도 멋진 작품을 만들면 박수는 받겠지만.          

바흐 b 단조 미사 –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성 토마스 합장단

Classical Music을 즐겨듣지만! 누군가 나에게 “그 중에서도 어떤 음악을 들으세요?” 물어보면 “모짜르트 이후부터 라흐마니노프 이전까지요.” 라고 말을 한다. 사실 뭐 대부분이 커버되는 범위지만, 중고등학교때 배운 서양 고전음악의 시대 중 빠져야 할 부분이 하나 있는데 바로 바로크 음악이다. 바흐, 하이든, 헨델로 대표되는 이들 시대의 음악은 도저히 이해하기 어려운 울타리로 둘러싸인 느낌이었다. 집에 있는 음반에도 거의 손이 안간채 방치되기를 몇년. 그런데 오늘 아무래도 그 편견을 깨버려야겠다.

자주가는 예술의 전당에서의 클래식 콘서트이지만, 이번 만큼의 중량감을 느끼는 콘서트는 아마 처음이지 않을까 싶다. 왜냐하면, 가는 콘서트들이 다 무료로 티켓을 구한 공연들이기에 -_-; 이러한 소위 티켓 파워가 있는 공연들은 초대권을 구하기가 매우 힘들기 때문이다. 아무튼 어차저차 어렵게 구한 티켓이니만큼, 충분히 즐기고 오기위해서 사전 예습이 필수! 가디너가 지휘한 음반으로 열심히 공부도 하고 귀에 충분히 숙달되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추었다.

공연자체에 대해서는 기립박수라도 치고 싶은 심정이지만 그래도 나름 후기를 써야겠다고 작심한 만큼 좋은 점과 나쁜점 몇 가지를 들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1. 따뜻한 악기소리 – 어찌 이렇게 고급스럽고 경건한 악기소리가 날 수 있을까? 고가의 악기를 쓰는 것도 그렇고 세계 일류 수준의 연주자들이라 미세한 실수도 찾기 힘들었다.

2. 관람태도 – 주최측에서도 악장간 박수를 엄금하고, 또 음악이 끝난후 바로 터지는 박수에 대해서 주의를 충분히 주었는지, 나쁜 타이밍에 터지는 박수가 하나도 없었을 뿐더러 관람태도도 매우 좋았다. 초대권을 많이 뿌리지는 않은 모양이고, 관람 연령층이 꽤나 높아서 정숙한 공연 분위기가 좋았다.

1. 끝으로 갈수록 지치는 합창단 – 소년 합창단이니만큼 2시간이 넘는 공연시간 내내 끝까지 집중력을 유기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생각된다. 아무래도 공연 후반부로 갈수록 목소리의 힘이 떨어지고 앙상블이 흐트러지는 모습이 보였다. 지휘자도 끝에는 거의 합창단만 지휘하는 모습.

2. 조금 더 친절한 자막 – 물론 음악이 주가 되는 공연이라는 것은 분명하지만, 조금 더 자세한 자막을 위에 틀어주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어두운 공연장 안에서 프로그램 북을 보면서 가사를 찾기도 힘들었다. (이내 포기했다)

어러가지 호불호가 갈리겠지만, 정말 인상적인 공연인 것은 틀림없었다. 바로크 음악을 듣게 된 계기가 될 것도 의미있지만, 합창단이 이렇게 아름다운 목소리를 낼 수 있다는 것도 새삼스래 재발견하게 되었고 말이다. 합창이라고는 매번 베토벤 9번만 듣다가, 이러한 목소리가 차곡차곡 겹쳐서 쌓이는 아름다움은 거의 처음 느껴본 것이 아닌가 한다! 아무튼 이러한 문화생활은 언제나 재충전의 계기가 된다. 또 열심히 다음 공연 사냥을 위해 떠나야지 –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