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나보코프와 모리스 라벨이다. 소설 롤리타와 피아노 협주곡 G장조 2악장이기도 하다. 나는 롤리타를 읽으면 피아노 협주곡 G장조 2악장이 들리고 라벨의 곡을 들으면 롤리타가 마치 무게가 없는 것처럼 움직이는 모습이 보인다.
십여년 전 우연히 이 소설과 음악을 함께 읽고 들은 후 이 둘은 음악이 나오는 그림책처럼 묶여 머리 속 서재의 가장 잘 보이는 자리에 놓였다. 그리고 두 작품이 얼마나 아름다운지에 대해서 꼭 주위 사람들에게 말해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롤리타라는 소설을 단순히 금기시 된 어른과 아이의 사랑, 그것도 육체적인 사랑으로 해석하는 사람은 아마 소설을 읽지 않았을 것이다. 내게는 이 소설이 지금은 나에게서 사라져버린 찬란한 생명력에 대한 묘사로 바꿔 해석된다. 10대에 들어선, 육체적으로 성장을 마치고 성적 매력(reproduction)을 발산하기 위해 응축된 생명력을 폭발시키는 그 잠깐의 시기, 그것을 아름답게 묘사하는 나보코프의 글에 집중하면 한글자 한글자가 마치 피아니시모와 포르테의 강약을 가지고 아름다운 주제를 반복하는 악보인 듯하다.
피아노 협주곡 G장조 2악장의 주인공은 전면에 서있는 오케스트라의 관악기가 아니다. 사실 주인공은 피아노를 연주하는 오른손이다. 작고 연약한 듯, 느리게 연주하는 높은 음들은 오케스트라가 내는 소리 속을 휘저으며 발레를 하는 무용수처럼 움직인다. 두 작품의 연결 고리는 오른손이 내는 소리들이다. 이 글리산도를 타고 오르락 내리락(Step down) 하는 소리들은 다시 나보코프의 첫 문장에 나오는 움직임으로 돌아와 멈춘다.
음악의 마지막에 그 유명한 첫 문장으로 소설이 시작되고 소설은 다시 롤리타의 움직임을 음악으로 만들어낸다.
Lolita, light of my life, fire of my loins. My sin, my soul. Lo-lee-ta: the tip of the tongue taking a trip of three steps down the palate to tap, at three, on the teeth. Lo. Lee. Ta. She was Lo, plain Lo, in the morning, standing four feet ten in one sock. She was Lola in slacks. She was Dolly at school. She was Dolores on the dotted line. But in my arms she was always Lolita.
아르헤리치나 미켈란젤리의 연주를 많이 듣지만 사실은 훨씬 더 느리게 한음 한음을 마치 타자기의 자판을 누르듯 해야 더 어울린다. 최근 캐천(Julius Katchen)의 연주를 들었는데 추천할 만하다. 유투브에는 적당한 동영상이 없어 그리모의 연주를 링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