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견지명이란

Freakonomics Podcast는 흥미로운 경제 상황을 매주 자세히 풀어서 소개해주는 프로그램인데, 지난 주제 중 Bitcoin에 관련된 내용을 듣다가 놀라운 선견 지명이 있어서 기록에 남긴다.

밀턴 프리드먼 (Milton Friedman) 이라는 미국의 경제학자가 있다. 1912년 생이고 2006년에 고인이 되신 분인데, 아래는 이 분이 1999년에 인터뷰한 내용 중의 발췌이다. (참고로 1999년은 이 분이 한국 나이로 88세가 되는 해이고 아마존닷컴은 1997년부터 책이 아닌 물건들을 팔기 시작했으며 네이버는 바로 그 해 설립되었다.)

 “MILTON FRIEDMAN: I think that the Internet is going to be one of the major forces for reducing the role of government. And the one thing that’s missing, but that will soon be developed, is a reliable e-cash, a method whereby on the Internet you can transfer funds from A to B, without A knowing B or B knowing A, the way in which I can take a 20 dollar bill and hand it over to you and there’s no record of where it came from. And you may get that without knowing who I am. That kind of thing will develop on the Internet and that will make it even easier for people to use the Internet. Of course, it has its negative side. It means that the gangsters, the people who are engaged in illegal transactions, will also have an easier way to carry on their business. (인터넷에 힘입어 정부의 역할은 크게 축소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사라지고 또 대체될 것 중 하나가 신뢰할 수 있는 전자 화폐입니다. 인터넷에서 A와 B가 서로 모르는 상태에서 손쉽게 돈을 보낼 수 있는 방법이지요. 내가 20 달러를 가지고 상대한테 보내주고 또 그 돈이 어디서 왔는지 알 수 있는 기록도 없습니다. 또한 상대는 내가 누군지도 알 수 없죠. 이러한 것이 인터넷 상에서 개발 될 것이고, 사람들이 인터넷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더 편리하게 작용할 것입니다. 물론 부작용도 있겠죠. 갱스터와 같은 불법적인 거래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더 쉽게 그들의 사업을 벌일 수 있을 것입니다.)

바로 정확하게 요즘의 비트코인에 관련된 이야기이다. 비트코인이 어떻게 동작하고 기존의 전자상거래와 어떤 면에서 다르며 어떠한 부작용이 일어날지를  15년 전에 정확하게 꿰뚫어보는, 마치 요즘 사람의 비트코인에 대한 논평을 보는 것 같아서 듣는 동안 소름이 돋았다. 더욱이 놀라운 사실은 자신이 80세가 넘어서 이용되기 시작한 인터넷을 배우고 기존의 학습에 적용해서 그 당시 젊은 사람들도 예측하기 힘든 미래에 대한 선견지명을 가졌다는 것은 놀랍다.

Freakonomics는 그 당시의 젊은 사람들의 비교를 위해서 비슷한 시기(1998)의 폴 크루그먼의 미래 예측을 들고 있다. 살짝 조롱하는 것 같은 뉘앙스인데, 그도 마찬가지로 유명한 경제학자이자 노벨상 수상자이고 밀턴보다는 무려 41살이 어리다.

 “The growth of the Internet will slow drastically, as the flaw in ‘Metcalfe’s law’ – which states that the number of potential connections in a network is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number of participants – becomes apparent: most people have nothing to say to each other! By 2005 or so, it will become clear that the Internet’s impact on the economy has been no greater than the fax machine’s.” (인터넷의 성장은 멧칼프의 법칙 – 네트워크의 잠재적 연결의 수는 그 참여자 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 에 있는 결점이 명확해지면서 급격히 둔화 될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서로 별로 할말이 없다! 2005년까지 경제에 대한 인터넷의 영향은 팩스의 영향보다 크지 않을 것이다.)

무엇이 이러한 차이를 만들어 내는 것일까? 미래를 정확하게 보는 능력은 부단한 학습의 결과일까? 아니면 단지 운에 가까운 우연일까?

[유럽 자동차여행] 메디치가 이야기

‘메디치가 이야기’는 이번 유럽 여행 중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었던, 메디치가의 흔적들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한국에 돌아오자마자 도서관에서 빌린 책이다. 피렌체와 쉬농소 성을 방문하기 전에 메디치가의 역사는 반드시 어느정도 알아야 하고, 나는 그러지 못해 후회했다.

DSC_0393
쉬농소 성, 카트린느 드 메디치의 성으로 불린다

사람의 생존에 필수적인 1차 산업 이외의 유통, 서비스, 금융, 예술을 발달 시키기 위해서는 잉여 생산량이 필요하고 이를 부(富)라 칭하면, 14~15세기에는 이 축적된 부를 어떻게 쓰느냐가 전적으로 귀족 가문과 왕에게 달려있었다. 메디치가는 이 부를 단순히 ‘소비’해버린 수 많은 다른 가문들과는 달리 금융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산업에 재투자했고 이로 인해 피렌체는 상업의 중심 도시이자 예술의 도시라는 명성을 가지게 되었다.

DSC_0448
피렌체, 두오모 성당

역사에서 부를 축적한 많은 가문은 있지만, 명성을 얻은 가문은 찾아보기 힘들다. 명성은 이 부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주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미술에 많은 돈을 투자하여 자신의 가문의 명성을 높이려하고, 세습에 관심을 가지고 자녀에게 막대한 부를 상속하며, 권력자에게 로비하고 가문의 안녕을 꾀하는 행태는 당시 이탈리아의 많은 가문이나 현대 우리나라에서나 똑같이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 하지만, 부를 얻은 가문과 ‘명성’을 얻은 가문의 가장 큰 차이는, 후자는 자신에게 부를 가져다준 많은 수의 평범한 사람들을 잊지 않았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