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의 이해 – 마셜 맥루한

The Medium is the message

위의 “미디어는 메시지” 라고 번역되는 맥루한의 유명한 경구의 원문을 알게 된 후 도서관에서 빌렸다. 이 책은 우리가 생각하는 미디어에 대한 책이 아니다. 아마 원문이 “The Media is the message” 였다면 굳이 빌려 읽지는 않았을 것이다.

미디어의 형식이나 경험보다 내용이 덜 중요함은 예전부터 느끼고 있었지만 이 책을 통해 많은 사람이 여기에 공감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전환”이라는 단어는 꾸준히 등장한다. 어느 분야에서든 임계치에 다다른 지점에서 전환이 일어난다. 현재가 상당히 많은 분야에서 이러한 전환이 일어나는 시기라는 것은 여러 “미디어”를 통해서 관찰되는데 이 것은 정보 이동의 속도 증가, 그리고 소프트웨어를 통한 자동화 때문이다.

자동차 중독에 걸린 사람들은 켄타우로스가 아니라 휠체어를 타는 뚱뚱이들에 더 가까운 것이다. 내 신체 능력을 임계치까지 이용하고 미디어로 확장되어야 한다. 처음부터 미디어에 의존하는 삶이란 그저 나를 미디어에 흘려보내는 것이다.

미디어의 이해가 잘 이해되고 공감될 수록 우리나라가 얼마나 미국 중심의 시각적 사고를 하고 있는지 느끼게 된다. 공감각적 경험, 절제의 미, 여백의 중요성 같은 색다른 체험은 그 균형을 위해서라도 의도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다.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 페르낭 브로델

자본주의는 인간의 몇 가지 습성에서 태어났다. 따라서 정확히 이해하려면 인간의 유구한 역사와 특질을 연구해야 한다. 하지만 그러자면 너무 방대하기에 13세기 이후 서양 사회를 살펴보면 100%는 아니지만 95% 이상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이 그러한 역할을 하고 있다.

6권이나 되는 긴 서사를 읽는 것에는 2달이 넘게 걸렸지만 그 백미는 4권의 마지막 결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현대 자본주의가 어떠한 토양에서 자라는지를 정확하게 이야기 하고 있는 이 부분을 조금 인용해본다.

1) 활력이 넘치고 진보하는 시장 경제

잉여의 부가 자유롭게 교환되는 시장 경제는 자본주의의 필수 조건이다. 하지만 그것이 충분 조건은 아니다.

2) 가문의 영속성과 연속적인 축적이 가능하도록 계서화된 사회

내가 모두 소비하지 않고 부를 축적하고 이를 내 자식들에게 물려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사회가 용인할 수 있도록 계급화 되어야 한다.

3) 세계 시장이라는 고도의 이익을 누리는 한 단계 높은 차원으로서의 이동 

단순한 시장 경제에서 현대와 같은 자본주의로의 파격적인 성장은 항로의 발달, 통신의 발달, 표준화된 금융 시스템을 통한 세계 시장의 등장으로 비로소 가능해 졌다.

 그동안 자본주의를 무엇이라고 정의하는 서적이 없다는 것이 의문스러웠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나니 자본주의는 인류가 만들어낸 거대한 계(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우리는 이것을 역사적인 측면, 지리적인 측면, 사회 계층적인 측면, 부의 교환과 흐름에 대한 측면에서 살펴볼 수는 있지만 이를 하나의 시점과 하나의 층(層)으로는 절대 살펴볼 수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