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처리유감

 얼마 전, 신문지 상에서 사립 S대에서 있었던 자그마한 성적처리 관련 소란에 대한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기사에서는 주로 학생의 교수에 대한 매우 불공손한 태도를 문제 삼았지만, 곧 이어 유포된 학생의 사과 글을 찬찬히 읽다보니 꼭 학생만의 잘못도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성적이라는 권력을 쥔 교수와 이에 목숨을 걸어야 하는 학생과의 트러블은 갈수록 심해지는 취업난 때문에 학점이라는 녀석의 중요성이 커지자 따라서 증가하는 추세다.

 나도 내가 생각하기에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불합리한 성적 처리의 경험이 하나 있다. 인문학도들이 주로 수강하는 교양 수업이었는데, 결코 최선을 다했다고 말할 수는 없는 한 학기였지만, 그래도 납득하기는 힘든 B+라는 성적이 나왔다. 그래서 성적 내역을 요청 드렸고 어느 부분에서 감점이 있었는지 확인 할 수 있었다. 내가 감점 된 부분은 다름이 아니라 바로 출석 점수였다. 비교적 공정하게 처리될 것 같은 출석 점수를 문제 삼는 것은 그날 결석한 사유가 ‘예비군 훈련’ 때문이었다.

예비군 훈련에 참석한 사람들에게는 학교에 있는 학군단에서 ‘결석 사유서’라는 서류를 발급해준다. 그 이유는 강제성이 있는 예비군 훈련에 참가하기 위해 결석한 학생들이 그 서류를 교수님께 제출하면 이를 감안해서 출석은 인정해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예비군 훈련 보다는 학생의 수업권이 먼저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지만, 무엇보다 국가의 방위를 걱정하는 윗 분들이 만든 제도라는 것, 싫어도 따를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잘 안다. 하지만 이를 제출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출석으로 인정하지 않고 결석으로 처리했다는 것은 참 불합리하다고 생각했었다.

게다가 89점으로 B+, 1점만 올리면 A0가 되고 아슬아슬하게 30% 장학금에 걸쳐있었던 나는 이것이 출석으로 인정되면 이런 말하기 그렇지만 금전적으로도 수십만원을 벌 수 있었기에 교수님에게 다시 메일로 연락을 드렸다. 아주 장문의 글이었고, 나름대로 논리적으로 썼다. 솔직히 지금 보면 조금 웃음이 나오겠지만, 심각하게, 아주 거창하게 작성한 글이었다. 국방의 의무 부터 시작해서 예비군 훈련의 강제성, 예비군 훈련을 다녀왔다는 이유로 감점된 수많은 복학생들, 남성에 대한 역차별, 결석 사유서 발급 시스템이 생긴 이유 등등 가져다 붙일 것은 다 가져다 붙였다. 그리고 실제로 만나서 꼭 말씀드리고 싶다는 말을 덧붙였다.

한참 만에 도착한  답메일에서 교수님의 논리는 어떤 형식으로든 수업에 참가한 학생과 수업에 참가하지 못한 학생은 성적에 차별을 두어야 하고 이는 정당하다는 것이었다. 어떤 사유에서건 수업시간에 당신의 수업을 그 자리에서 듣는 자만이 출석 점수 만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다시 한번 장문의 메일을 보냈다. 두 번째 이메일에서는 예비군 훈련의 ‘강제성’에 대해서 말씀드렸고 이는 학생으로서 선택하기 힘든 국가적인 시스템에 의한 것임을 강조했다. 즉 ‘법’이 그렇게 정하고 있는데 어떻게 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었다.

물론, 내가 이 글을 길게 쓴 것에서 알 수 있겠지만, 끝내 성적은 정정되지 않았고 그 학기의 유일한 B+로 아직까지 남아있다. 두 번째 메일에 대한 답신은 그렇게 내 성적, 그리고 예비군 참석자의 성적을 올려주면 성적이 내려가야 하는 다른 수 많은 사람들은 어떻게 하냐는 것이었다. 그리고 나는 이 시점에서 더 이상 클레임을 외치는 것을 그만 두었다. 교수님은 이미 논리가 아닌 동정론을 펴고 있었고 나는 더 이상은 내 논리가 통할 수 없다는 것을 눈치 챘기 때문이다.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나이 많은 여 교수님이었으므로 교수님의 ‘예비군 훈련’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아마 예비군 훈련을 날짜를 선택해서 아무때나 다녀올 수 있는 시스템 쯤으로 이해를 하고 계셨던 것이 아닐까. 많은 아쉬움이 있지만, 세상에는 절대적으로 불합리한 일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경험을 한번 했다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내가 신문지 상에 오르내린 그 학생처럼 극단적인 행동을 했다면 결과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성적처리유감”의 6개의 생각

  1. 원칙이 원칙으로써 작용하기 위해서는 보편 타당한 합리성이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이미 지나간 일이지만 제가 봤을때도 그 교수님의 평가에 다소 아쉬움이 남네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