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ng something is always better than doing nothing

 20대의 후반에 접어들면서 기초대사량이 줄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조금만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어도 몸이 불어나는게 느껴지는 요즘이다. 하늘은 높고 말뿐 아니라 사람도 살찌는 가을이라 그런가? 늘 오르락 내리락하는 많은 계단을 위해서도 그렇고, 힘겨워 하는 스쿠터양을 보고 있는 것도 안쓰러운 일이고 해서 가능하면 좀 슬림하다 싶은 정도로 유지하고 싶은 희망이 있다. 하지만 회식이다, 친구들을 만난다,해서 어쩔 수 없이 지방질의 느끼한 식사를 하게 될 때가 있기 마련이고 그럴 때마다 잠시 머리속에서 사라지는 결심들 때문에 생각보다 많은 양의 먹고 꼭 후회하게 되어있다.

  저번 주 토요일에는 맛있게 구워지는(내가 굽는. 이겠지? 나는 고기 구울때 늘 내가 굽는다;) 삼겹살을 보면서 이런저런 이유로 식탁 앞에 앉아서 이런 고민을 하고 깨작깨작하는 모습이 한심해보여서 생각을 조금 바꿔보았다. 일단 먹고! 열량과 지방들이 공기속으로 날아가도록 운동을 더 열심히 하면 되겠지. 그래서 저번 주 금, 토, 일 계속 술, 고기로 주지육림을 보내다가, 이번 주 한주 내내 가기 귀찮은 토요일마저도 추운날씨에도 불구하고 스포츠센터에서 평소보다 놀라운! 스피드를 내고 놀라운! 거리를  달렸다. 어짜피, 집에서 자고 있을 것인데, 다소 강압적인 책임감에 사로 잡혀서 운동을 열심히 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얻은 결론은 “나쁘지 않군 조금 더 열심히 삶을 살게 되었어.”

  많은 것들이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 보다는 무엇인가를 하는 게 항상 낫다.” 고기를 앞에 두고, 맛있는 음식을 앞에 두고 그 칼로리를 계산하면서 두려움에 덜덜 떠느니, 일단 배부르게 먹고, 많이 먹었으니 그 걱정들을 운동을 더 열심히 해야 하겠다는 심리적인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게 더 낫다. 그게 더 열심히 살 수 있게 하는 동기부여가 된다. 시험공부를 하고 있는데 친구가 부른다고 나가 놀까, 놀지 말까를 망설이면서 책상 앞에 붙어있는 것은 바보 같은 짓이다. 나가서 신나게 놀고 돌아와서 열심히 하는 것이 낫다. 상처받는 것이 두려워서 연애를 할까 말까 고민하는 것은 바보 같은 짓이다. 일단 감정에 100% 충실하고 결과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성숙해지는 것이 낫다.

  결과론적인 100점짜리 인생보다는 현재 진행형의 100%의 인생이 더 재미있어 보인다. 무엇인가가 머리속에서 50:50으로 싸우고 있는 모습을 지켜보다가, 60:40이 되었다고 60을 응원하는 것은 수동적이고 한심해보인다. 무엇인가가 머리 속에서 싸우고 있다면 재빠르게 한쪽의 승리를 선언하는 것이 낫다. 그래서 항상 무엇인가를 위해서 자신의 모든것을 100% 투구하는 것이 낫다. 행동도 감정도 그런 순수성이 있는 것이 모든 순수하지 않은 것들을 이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