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한 것이 없는

특별한 재능이나, 딱히 물려받은 재산, 하다 못해 인생을 걸 용기도 없어 그저 부모나 선생이 알려주는 안전한 선택만을 해왔다. 나로서는 조그만 행복을 누리기 위해서 그저 열심히 하는 것 밖에 더 해볼 것이 없다.

문득 그 와중에 열심히 하기 위해 행복을 불태우고, 행복이 있을 것이라 더욱더 열심히 하는 자기모순적 삶의 굴레를 느낀다. 나 뿐 아니라 같은 길을 겉고 있는 수많은 소시민들의 모습이 위로가 될까. 도대체 어디가 시작이고 어디가 끝인가?

세상을 보는 여러가지 방법

1차원으로 보는 사람이 있다. 이 사람에게 세상은 다양한 이분법의 조합이다. 모든 사람들을 무엇을 가졌나 아닌가를 가지고 판단한다. 자가와 전세, 국산차와 수입차, 남자와 여자, 강자와 약자, 필요한 것과 불필요 한 것. 우리편과 남의편을 가르고 우리편만 남아 있는 세상을 꿈꾼다.

2차원으로 보는 사람이 있다. 이 사람의 특기는 줄 세우기다. 산수만 할 수 있으면 이렇게 세상을 볼 수 있다. 우리 회사의 매출은 몇 % 증가 했는지, 한국은 OECD 국가 중 몇 위 인지, 올림픽에서 몇 등을 했는지, 상위 몇 % 연봉을 받고 있는지. 세상은 줄세우기의 결과물이다.

3차원으로 보는 사람이 있다. 이 사람은 나와 다른 사람, 그리고 또 다른 사람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입체적으로 세상 사람들의 위치와 입장을 살펴볼 수 있다.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사람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진 따뜻한 사람일 가능성이 크다.

4차원으로 보는 사람이 있다. 어떤 사회적 현상, 다른 사람의 주장을 시대적 패턴에 의해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다. 사람의 과거를 바탕으로 현재를 상상하고 미래를 그려 본다. 현재의 시대정신을 지랫대 삼아 미래의 이상향을 그린다. 이를 위한 키는 역사와 철학이다. 아마 다독가일 것이다.

사람들 중 8할이 첫 번째 유형의 사람이고, 두 번째 유형의 사람들이 세상을 지배한다. 우리 시대가 원하는 것이 이런 분포인지, 인류의 본성이 이렇게 만드는 것인지 작게나마 걱정된다. 단 하나의 세대 만큼 짧은 시간이 흘러도 더 입체적으로 세상을 보는 사람이 많아졌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