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에서의 창의성

기업에서의 창의성이란 요구 사항에 없는 것을 만들어 내는 능력을 말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만들어낸 그것이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방법으로 일이 더 멋지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기업은 직원에게 (말로는) 창의성을 요구한다. 사실 창의성이라기 보다는 경영진이 생각하지 못한 문제에 대한 더 나은 해결책을 가지고 오는 능력을 원하는 것이고 이런 사람들을 ‘창의적’이라고 이름 붙인 것이다. 기업의 보편적인 속성인 권위주의, 관료주의는 창의적이란 말과 극단에 위치한다.

기업이 창의적인 직원들로 가득차 새로운 아이디어가 흘러넘치려면 방법은 두 가지다. 채용 시 정말 창의적인 사람을 뽑고, 일하면서 창의적이 될 수 있도록 조직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두 가지 다 성공적이어야 한다.  정말 창의적인 사람을 뽑는 것도 매우 어려운 문제이지만 인사팀에 맡겨두고, 우선 창의적이 될 수 있는 조직 문화란 무엇인가? 여러가지 조건이 있겠지만 가장 근본적이고 모든 사람에게 적용될 수 있는 규칙은 기본 욕구로부터의 해방이다.

내가 지금까지 관찰한 결과, 한국 사회에서 대학을 졸업할 때까지 착실하다는 소리를 듣고 사회에 진입한 보통의 사람들은, “내가 어떤 일을 해도 나와 내 아이들이 먹고 사는 것에 지장이 없겠구나” 하는 확신이 생겨야 창의적이 될 수 있다. 내가 외적 그리고 내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고 나의 행동이 일으키는 결과가 나에게 피해를 주어서도 안된다. 보통 사람들이 창의성을 발휘하려면 기업은 ‘너가 어떤 말을 하고 어떤 아이디어를 내도 너를 자르지 않고 보호해 줄게’라는 확신을 주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정 반대인데 이는 위에서도 말했던 것처럼 현대의 권위주의적인 기업이 가진 속성이 창의성과는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러한 직원에 대한 보호와 보장이 부족한 환경에서는 자연스럽게도 집에 돈이 아주 많거나, 이직이 쉽거나 평생이 보장되는 자격증을 가지고 있거나, 이도저도 아니면 가정 교육을 매우 잘 받아서 자신감이 충만한 사람들이 더 창의적이다. 위의 사람들이 더 많은 권한을 가진 조직은 반드시 아래에 있는 사람의 자유를 제한 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조직 문화로서 창의성을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은 기업 내 권력의 배분과 자유의 보장 문제로 환원 된다.

자유로울 수 있는 권리, 남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는 권리(이 둘은 결국 하나이지만)를 기업 내부에서 어떻게 분배하는지에 따라 창의적인 조직으로 나아갈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되는데 극도로 제약이 심한 직원들의 업무 환경, 상명하복식의 문화, 실무자와 결정권자의 엄격한 분리, 결과에 대한 문책을 피하기 위한 수많은 Paper work 등 국내 유명 대기업들의 행태를 보면 사실 그들은 창의적인 조직을 바라지 않는 것처럼 행동한다.

그렇다. 솔직히 말하면 나는 대부분의 기업이 사실은 조직의 창의성을 원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창의적인 기업이라는 이미지만을 원한다. 또한 기업의 계급화된 조직은 본질적으로 창의성과 양립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꼭 창의적인 기업이 경쟁에서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조직원이 창의적인 기업은 근로자들의 유토피아로서 유명세를 탈 수는 있지만 우두머리가 창의적이고 조직원은 창의적이지 않은 기업과의 경쟁에서 이길 수는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시장(Market)은 항상 무엇의 극대화를 요구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후자의 조직이 훨씬 유리하기 때문이다.

자본주의의 역사 – 미셀 보

자주 쓰이고, 누구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단어 중에 ‘자본주의’ 만큼 명확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단어는 없을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 그 애매모호 함이 어느 정도는 줄어든다.

자본주의는 투입된 자원 대비, 산물의 가치가 더 높아져서 나에게 이윤이 축적되는 과정을 추구하는 강력한 욕구에서 출발한다.

이 과정에서 교환의 방법, 생산의 방법, 노동의 이용 방법, 자본 획득의 방법 등 다양한 변종이 있을 수 있지만 그 핵심은 ‘축적된 이윤’‘끊임 없이’ 추구하고자 하는 행태를 사회적으로 보장하고 이를 경제적 풍요를 이룩하는 방법으로 삼는다는 것이다.

저자가 젊은 시절에 쓴 부분과 노년에 쓴 부분의 문체, 분석의 깊이, 세련됨 등이 많은 차이가 있어서 마치 다른 책을 읽는 듯한 단점이 있지만, 자본주의를 막연히 기업 간의 경쟁이나, 자유주의 시장 경제로 국한해서 생각하고 있던 사람들에게는 많은 깨달음을 줄 만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