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공학] 효율적 시장과 제로섬 게임

지금 배우고 있는 각종 파생 상품은 결국 시장 참여자들 간의 제로섬(Zero-sum) 게임이다. 내가 얻는 이득이 있으면 분명히 누군가는 정확히 같은 양 만큼의 손해를 본다. 주식 시장도 다르지 않은데,  주식 시장은 기업의 활동을 촉진시킨다는 긍정적인 측면의 해석이 그나마 조금은 가능하다. 하지만 이 파생 상품 시장이 사회에 기여하는 바는 아무리 생각해봐도 잘 납득이 되지 않는다.

시장이 완전히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기여하는 것, 그리고 기업 운영에 있어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측면에서 필요한 것까지는 납득이 간다. 하지만 시장에 참여하는 기업이 회피한 리스크는 소멸하지 않고 누구에게 전가되는 것인가를 잘 살펴보면 이도 역시 기업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그 시장의 변동성을 누군가에게 전이 시켜야 하는 것임에는 틀림없다. 

흔히 자본주의에서 그렇듯 더 이상 사고를 발전 시키지 않고 “기업이 잘 되는 것”이 사회의 일등 가치인 것처럼 여기고 이를 위해 필요한 사회적 희생에 대해서 묵과한다면 결국 리스크의 양극화가 일어나고 너무 많은 리스크를 보유하고 있는 사회 구성을 위해 필요한 보다 중요한 것들이 고통 받고 사라지게 될 것이다.

요즘은 아무도 시장의 완전한 효율성과 부의 분배, Invisible Hand를 믿지 않는다.  끊임없는 실험과 검증, 가설과 적용, 평가와 개선이 반복되는 공학의 근면함이 금융의 탐욕성에 제동을 걸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이제 양쪽을 다 배운 만큼, 사회적 책임도 생각해 볼 의미를 느낀다.

[유럽 자동차여행] 루트/항공권/렌트카

서유럽 4개국,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스위스를 도는 자동차 여행을 기획 중이다. 신혼여행이나, 패키지 여행에서 가장 인기 있는 코스는 프랑스와 스위스를 여행하는 코스인데, 여기에 자동차 여행이라는 방법과 20일이 넘는 기간이 확보되면 근처의 다른 나라를 여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페인,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독일 등등

루트

나는 파리 In – 제네바 Out 으로 항공권을 구입하기로 했다. 왜냐하면, 렌트카 여행에서 빌리는 나라와 반납하는 나라가 다르면 꽤나 많은 비용이 One-way Fee 라는 명목으로 추가된다. (몇 십 만원 정도) 그러려면 한 나라에서 빌리고 반납하고 해야 하는데 그러면서도 최대한 멀리 떨어져 있고, 루트를 짜기 용이한 곳이 파로 파리 – 제네바가 아닐까? 제네바 공항은 프랑스 Sector와 스위스 Sector로 나뉘어 있어 프랑스 쪽에서 렌트카를 반납하면 프랑스에서 빌리고 프랑스에서 반납하는 꼴이 되어 추가 비용이 들지 않는다.

유럽여행

크게는 파리 – 바르셀로나 – 로마 – 제네바를 축으로 돌고, 이동 경로 중에 위치한 관광지들에서 쉬어가는 방식이다. 몽셀미셀만 제외하고는 다 이동 경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루트를 정했다. 22일 일정에 4,142km로 하루에 200km 이하로 이동하도록 맞추었는데, 며칠 씩 머무르는 도시가 있어서 몇 군데는 하루에 400km에 육박하게 이동해야 하는 구간이 있었다. 리모주 – 카르카손, 바르셀로나 – 몽펠리에, 라스페치아 – 로마의 3 군데는 하루 이동거리가 400km 에 가까웠으나 빼기는 쉽지 않았다. 차라리 약간 무리를 해서라도 그 다음 도시에서 2박을 하는 것으로 정했다.

항공권

항공권은 6개월 전부터 꾸준히 찾아보았다. 파리 직항을 운행하는 에어프랑스나, 아시아나는 제외하고 저렴하게 갈 수 있는 항공권을 찾아보았는데, 최근에는 카타르나, 에티하드 항공 처럼 중동을 경유해서 가는 항공권이 가장 저렴해 보였다. 루프트한자 등의 독일 경유 항공도 그 보다는 살짝 비싸지만, 비행 시간이 몇 시간 더 짧다는 것에 장점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에티하드 항공의 파리 In – 제네바 Out 으로 인당 88만원에 구매했다. 루프트한자는 10만원 정도 더 비쌌고, 그 이외의 항공사들은 대부분 100만원이 넘었다. 작년에 제네바 In – 파리 Out으로 KLM 에서 145만원에 예매 했던 것에 비하면 훨씬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었다.

몇 달 간의 모니터링 결과, 유럽 왕복 항공권은 80만원 부터 출발하는 듯 해 보였고, 러시아 항공, 에티하드 항공, 카타르 항공, 루프트한자 등이 80만원 대에 구할 수 있는 항공권을 팔고 있는 것 같았다. 파리 왕복으로 에어프랑스에서 99만원 정도의 티켓도 있었으나, 이는 비수기에 파는 것이라 우리가 여행할 성수기에는 선택지가 없었다.

렌트카

알프스 산악지대를 운전해야 하기에, 반드시 오토매틱으로 빌리려다 보니, 선택지가 별로 없었다. 사고로 인해 여행을 망치는 일이 없게 하기 위해 Hertz에서 Super cover를 포함하여 폭스바겐 골프 급으로 예약했다. 딱 3주 렌트를 했는데 한화로 110만원이 살짝 넘는 금액이 나왔다. 흔히 많이 고려하는 리스가 21일에 1100유로가 넘는 것을 생각하면 훨씬 저렴한 가격이다.

파리에는 수 없이 많은 Hertz 영업소가 존재하는데, 어디서 빌릴지도 고민해야 할 사항이다. 나는 4가지 조건이 일치하는 곳을 고려했다.

    1. 에어프랑스 리무진이 정차하는 곳
    2. Hertz 영업소가 비교적 크고 직영점일 것
    3. 남서쪽 방향 파리 외곽으로 빠져나가기 용이한 곳
    4. 근처에 숙소를 정하고 파리 시내 관광에 편하도록 지하철 접근성이 좋은 곳

즉, 숙소, 렌트카 영업소, 에어프랑스 리무진 정류장, 파리 시내 접근 성이 좋은 지하철역이 다 일치하는 곳을 찾고자 했다. 2 번은 렌트카를 가지고 가는 첫 번째 목적지가 베르사이유 궁전이므로 붙은 조건이다. 4 가지 요건이 모두 충족되는 곳은 몽파르나스 역 근처 밖에 없어 보였다.

Hertz

위 별표 2개로 표시된 지점이 각각 에어프랑스 리무진 정류장과 Hertz 사무소 위치이고, 몽파르나스역은 지하철 4개 노선이 교차하는 역으로 노틀담 성당, 상젤리제 거리, 에펠탑이 환승 없이 이동 가능한 곳이다. 또한 유적지 근처보다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숙소를 렌트할 수 있어 보였다. 렌트 후에 남쪽 순환도로로 빠져나가는 것도 중심지의 영업소들보다는 편해 보였다.

다음 포스팅에는 AirBnB를 통한 파리 시내 아파트를 예약한 내용을 살펴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