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카이를 위한 항공/숙소 예약

장소

갑작스레 결정된 학교로의 귀환으로 꿈꿔왔던 하와이의 꿈은 사라지고, 짜내고 짜낸 신혼 여행 일정은 고작 4박 5일. 그마저도 학교 성적에 지장을 줄까 봐 노심초사 한 끝에 결국 가깝고, 부담 없는 동남아로 결정. 과연 동남아에는 어떤 곳들이 있는 것일까? 우선 조건을 아래로 정했다.

  • 여자의 조건
    1. 청결할 것
    2. 숙박시설이 좋을 것 (풀빌라? 시설 좋은 호텔?)
  • 남자의 조건
    1. 비행시간이 짧을 것
    2. 깨끗한 물에서 수영할 수 있는 곳
    3. 자유여행으로 가도 부담 없는 곳

우선 아는 곳을 다 적어보기로 했다. 푸켓, 발리, 사이판, 괌, 보라카이, 세부, 파타야 등등. 우리는 합리적인 커플이니까, 각자의 조건으로 후보지들을 정렬해봤는데, 결과는 보라카이가 선정. 비행시간이 짧고, 깨끗한 물과 해변이 있는 곳에서 보라카이가 압도적으로 우위였고, 또 좋은 리조트에서 자면 청결하고 럭셔리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여자의 조건은 휴양지 위치 선정에는 크게 상관이 없었다.

항공

보라카이까지 가는 비행기 편은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인천-마닐라-카티클란으로 가는 경유 편, 또 하나는 인천-칼리보 직항. 직항은 대신 1시간 반 이상 버스를 타고 또 들어가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고 한다. 일반적인 가격은 비슷비슷한 것 같고, 사실 마닐라-카티클란으로 운행하는 필리핀 국내선에 얼마나 괜찮은 프로모션 티켓을 구하느냐에 따라서 가격 차이가 많이 나는 것 같다.

우리는 최대한 현지 체류 시간을 늘리기 위한 항공편을 선택해야 했는데, 직항은 다 아침에 출발하는 편 밖에 없었다. 여기서 아침에 출발하면 보라카이에 빨라야 오후 늦게 도착할 것이고, 그러면 하루는 손해볼 수 밖에 없는 구조라 화요일에 수업을 듣고 저녁에 출발하면 보라카이에 아침에 도착할 수 있을 것이란 생각에 마닐라 경유 편을 선택했다.

오후 8시 45분 인천 출발, 마닐라에서 다시 카티클란으로 아침 7시 45분에 출발하는 국내선 티켓, 그리고 오는 비행기는 아침 7시 20분에 카틸란 출발, 오후 2시 40분에 마닐라에서 인천으로 출발하는 비행기로 예매했다. 모두 필리핀 항공, 국제선은 gmarket에서 최저가 검색에 만원짜리 할인쿠폰 발급 받아서 예매, 국내선은 필리핀항공 홈페이지에서 직접 예매.

국제선 585,200원 + 국제선 344,000원 = 929,200원 / 2인

일인당 464,600

숙박

숙박 때문에 남자와 여자는 정말 많이 싸웠다. 보라카이의 숙소 중 단연 독보적인 시설과 가격을 자랑하는 샹그릴라 리조트(http://www.shangri-la.com/boracay/boracayresort/). 네이버의 모 까페에서 가장 저렴한 디럭스룸을 1박에 62만원에 판매하고 있다. 2박 이상을 할 경우 8000페소 정도의 밀쿠폰을 준다고는 하나, 리조트 내의 식당이 워낙 비싸서 사실 이게 큰 장점인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다.

아무튼 우리 커플도 샹그릴라 리조트를 염두 해 두고 이것 저것 알아봤는데, 딱히 다른 프로모션이 없다면 해외 호텔 예약 사이트 (Hotels.com, Agoda.com, 익스피디아, 호텔컴바인드, 트립어드바이져 가격비교 등등등) 보다 그냥 네이버 까페에서 예약하는 것이 가장 낫다. 사실 신혼여행이라면 가장 좋은 숙소에서 자고 싶은 것이 여자의 마음. 한번 쯤 기분을 내는 것도 좋을 듯. 하지만 한 군데서만 계속 머무르기에는 조금 지겨울 수도 있으므로 샹그릴라 절반, 다른 리조트 절반으로 해도 괜찮을 것 같다.

그런데 남자의 생각에는 샹그릴라의 몇 가지 단점들이 보였다. 첫 째로는 가격이 2위 이후의 리조트보다 독보적으로 비싸다는 것. 가장 좁은 방이 62만원, 우리 커플처럼 4박을 하려면 248만원. 내 기준에서는 신혼여행이라도 부담스러운 금액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해변이 화이트비치보다 깨끗하지 못하다는 점, 번화가까지의 거리가 걸어갈 수 없을 만큼 멀다는 점 등이 자꾸 눈에 걸려서, 하나의 Alternative를 찾아보고자 했다.

몇 가지 조건이 있었는데, 여자는 무조건 럭셔리한 것을 원했고, 남자는 합리적인 가격에 카티클란 공항까지의 픽업 서비스가 제공되었으면 했다. 사실 이 두 가지를 교집합 해보면 하나의 리조트만 남는다. 바로 Discovery Shores Boracay (http://www.discoveryshoresboracay.com/discoveryshores)가 그곳이고 우리가 예약한 숙소이다. 그리고 이 곳이 샹그릴라에 이은 보라카이의 2등 리조트이기도 하다.

자, 그럼 이제 비교를 위해 최저가 견적을 손품 팔아 알아보자.

우선 샹그릴라에서는 가장 저렴한 방에서 4박을 해도 부담스러운 가격이었는데, 리조트를 낮추어 예산을 더 확보 했으니, 여기서는 가장 저렴한 방 2박, 가장 비싼 방 2박을 하기로 했다. 가장 저렴한 방은 주니어 스윗이고, 가장 비싼 2인용 방은 원 베드 룸 프리미어이다.

주이어 스윗은 가격 비교 결과 www.olotels.com 이 가장 저렴했다. 2박 세금 포함 640불 정도의 가격이었는데, 우리나라 돈으로 72만원 정도. 그런데 마침 지난 유럽 여행에서도 여기서 숙박을 예약해서 6만원 정도의 마일리지 적립된 것이 남아 있었다. 그리고 www.mrrebates.com 에 회원 가입을 하고 여기서 olotels를 검색해 링크를 타고 들어가면 총 결제 금액의 5%를 적립해주며 이는 나중에 다시 환급 받을 수 있다. 그래서 이리저리 계산해보니 2박에 62만 4천원.

그러면 비싼 방은? 처음에는 정말 방이 없어서 고민하고 있다가. asiatravel.com에서 예약을 했었는데, 이걸 결제를 해? 말아? 망설이는 사이 새로운 프로모션이 나왔다. 10% 저렴한 가격에 나온 대신 환불이 안 되는 딜. 결혼이 취소되지 않는 이상에야 신혼 여행을 가지 않을 일은 없으므로 지르고 보자. Hotels.com에서 예약을 할 수 있었다.

Hotels.com 은 접속 루트에 따라 스페셜 딜이 보이는 쪽이 있고 안보이는 쪽이 있다. 차이점은 스페셜 딜이 보이지 않는 경우 자주 뿌리는 10% 할인 쿠폰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다른데, 그냥 www.hotels.com으로 접속하면 스페셜 딜이 보이는 쪽, www.hotels.com/mastercard 로 접속하거나 위에서 말한 www.mrrebates.com을 경유하면 스페셜 딜이 보이지 않는 쪽이다. 양쪽을 비교해보고 저렴한 곳에서 결제하면 된다. hotels.com으로 직접 접속 해서는 98만원, mrrebates를 경유하면 106만원 가량. 따라서 경유로 접속해서 10% 쿠폰을 먹이고 mrrebates에서 4%를 캐시백 해주므로 최종 가격은 2박에 91만 1천원.

Discovery Shores Boracay

Junior Suite / 2 days + One bedroom Suite Premier / 2 days

62만 4천원 + 91만 1천원 = 153만 5천원

샹그릴라의 248만원, 그리고 디스커버리의 153만 5천원을 놓고 보면, 아무리 샹그릴라의 밀 쿠폰을 고려한다고 해도 디스커버리보다 백 만원의 값어치를 할 지가 의문스러웠다. 룸 컨디션은 디스커버리가 더 좋은데.. 차라리 그 백 만원을 액티비티나 선물 등 다른 것에 쓰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 여자를 설득해서 결국 디스커버리 예약.

이건 여기를 참고 삼아 방문하는 커플들이 선택할 일이다. 보라카이에 신혼여행을 간다고 할 때, “나는 무조건 가장 럭셔리한 곳에서 자야해.” 라고 생각하면 샹그릴라, “샹그릴라가 좋긴 하지만 백만원의 가격은 아닌 것 같아.” 라고 하면 디스커버리 쇼어.

결론

공항에서 보라카이까지 무료 픽업 제공하는 최고급 리조트의 제일 비싼 방 2개 넣어서, 항공료 및 유류할증료 포함 일인당 123만 2천원

사실 보라카이는 여행사 안 끼고 가도 된다고 많이들 이야기 하고, 그래서 에어텔 상품도 많다. 사실 바쁜 일정에 에어텔 상품도 고려 안 해본 것은 아니나, 이렇게 직접 하고 보니 에어텔 상품도 꽤나 비싼 것 같다. 비슷한 견적의 에어텔 상품을 알아보니, XX투어에서는 가장 저렴한 주니어 스윗으로 4박을 하는 상품이 176만원 가량, 숙박 차이를 고려해서 동일한 항공권과 숙박으로 예약을 직접 할 경우 108만원 정도, 약 68만원이 차이가 나고 2명이라면 동일 여행에 직접 예약한 것과 에어텔 상품을 이용한 것이 136만원 차이, 물론 여행사에서 몇 만원 정도의 특전을 제공하긴 하지만, 이 정도의 가격 차이는 조금 놀랍다.

결국, 정말 가이드가 필요한 곳으로의 여행이 아니면 직접 하는 것이 꽤나 돈 절약이 된다는 사실.

[Economist] In a hole (궁지에 몰리다)

이 주에 이루어진 두 거래는 유럽의 통신사들을 괴롭히는 문제 중 오직 일부만을 나타낸다.

Jun 29th 2013 |From the print edition

영국의 이동통신사 보다폰은 14년 전, 독일의 Mannesmann 사의 인수에 나섰다. 독일 기업계에서 가장 거대한 기업 중 하나인 이 곳은 결국 주식 1830억 달러에 굴복하고 말았다. 보다폰은  또 다른 최신의 인수, 100억불 가량의 현금을 주고 독일의 가장 큰 케이블 텔레비전 서비스 기업 Kabel Deutschland 를 인수한다고 6월 24일 발표했으며 이는 기쁨보다는 걱정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같은 날에 이루어졌던 더 작은 거래, 스페인 텔레포니카의 아일랜드 사업부를 홍콩에 위치한 Hutchison Whampoa가 소유한 Three가 인수한다는 발표는 유럽 통신사들을 괴롭히고 있는 혼란을 반영한다.

이 아일랜드에서의 거래는 두 가지 잘 알려진 고통의 원인을 완화 시킬 수도 있다. 첫 번째로는, 텔레포니카가 가진 빚을 경감 시켜줄 수 있다. 텔레포니카는 올해 말까지 부채를 470억 유로까지 줄일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 두 번째로는 유럽의 모바일 통신 시장 중 하나에서의 경쟁을 완화 시켜줄 것이다. 유럽에서는 아무리 작은 시장이라도 최소 4개 기업이 경쟁하고 있다. 정부는 그대로 경쟁을 놓아두고 싶어해왔다. 하지만 만약 시장 규제 기관이 이 인수를 용인한다면, 4개 기업간 경쟁을 3개 기업간 경쟁으로 줄여주게 될 것이다. 2012년 2월에 이루어진 Three에 의한 오스트리아의 지역 사업자인 프랑스 브랜드, 오렌지에 대한 비슷한 인수는 European Commission 의 조사 끝에 승인을 받는데 거의 1년의 시간이 걸렸다.

이 독일에서의 인수합병은 새로운 어려움을 나타낸다. 통신사나 케이블 기업들은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고 있다. 공격자, 혹은 수비자의 입장 모두에서 기업들은 가격을 할인하고 인수 합병을 추진하고 있다. 작년 프랑스에서는 급 성장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lliad가 초저가 휴대 전화 서비스 Free를 런칭하고 가격 전쟁을 불러 일으켰다. 전통적인 유선 사업 지배자이자 1등 광대역 서비스 제공자인 영국의 BT는 스포츠 텔레비젼 분야에 진출하여 미국 방송사 ESPN의 지역 사업부를 인수했다. 이것은 BT 로부터 가입자를 빼앗아 가기 위해 애쓰고 있는 영국의 최대 유료 TV기업 BSkyB에 도전하고 또 방어하기 위한 결정이었다.

어떻게 이런 힘든 싸움을 할지는 국가마다 다르다. 하지만 연구 기관 Sanford C. Bernstein의 Robin Bienenstock은 보다폰과 같은 모바일 전문 기업이 특히 취약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모바일 서비스뿐 아니라 광대역 서비스도 제공하는 유선 사업 지배자는 케이블 기업들이 그들의 광대역 사업을 공략하는 것을 지켜보고 있다. 그들은 가입자를 지키기 위해서 모바일에 부가적인 혜택을 얻어주고 있으며 이는 모바일 사업자 이윤을 잠식한다.

이동통신사업자들은 이에 맞서 싸우기 어려운데, 왜냐하면 특히 그들은 자신만의 빠른 광대역 통신망을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시장 지배적 유선사업자들의 네트워크를 임대해서 이용할 수 밖에 없다. 가격이 규제 대상이긴 하지만 이는 꽤나 타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인 당국에 의해 한달 가입료가 20유로로 규제된 광 통신 요율은 “임대 사업자에게는 불가능한 경제”를 의미한다고 Bienenstock은 말한다. 또한 이러한 재정 압박을 강하게 밀어 부치기 위해 유럽 몇 개국에서 사업을 진행 중인 미국 케이블 기업인 Liberty Global는 모바일 서비스로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싶다고 밝혀왔다.

가장 큰 시장인 독일에서 보다폰은 벌써 300만 명의 자신들만의 광대역 통신 가입자를 확보했고, 도이치 텔레콤의 유선망을 이용하여 그 외의 사람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협약을 맺었다. 하지만 독일의 가장 큰 유무선 통신 사업자인 도이치텔레콤은 초고속 광통신을 내놓았고, 또한 Kabel Deutschland와 그의 라이벌인 Liberty Global의 독일 지사는 고속 광대역을 서비스를 제공하여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Kabel Deutschland를 인수하는 것이 보다폰에게는 정답이었다. 특히 Liberty 역시 인수에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독일의 카르텔 감독청은 Liberty에 의한 인수가 더욱 문제를 야기한다고 밝혀왔다)

유럽의 통신사들의 불행은, 우리(소비자)에게는 즐거움을 줄 수 있다. 그들의 서비스들은 그 어느 때 보다 수요가 많고, 모바일과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는 홍수처럼 쏟아진다. 하지만 가격은 불황이나 경쟁을 통해서 뿐 아니라 규제를 통해서도 계속 낮아져 왔다. 정부 규제 위원회들은 사업자들로 하여금 타 사업자가 그들의 통신망에 통화를 위해 접속할 때 마다 청구하는 모바일 접속료(MTR)와 광대역 접속 요금을 낮추게 했다. MTR 에서의 가격 인하를 고려하지 않더라도 3월까지의 모바일 서비스의 매출은 3.8%나 하락했다고 또 다른 시장 조사 기관 Enders Analysis의 James Barford는 말한다. 정부 규제 분까지 포함하면 8.6%로 더 떨어진다.

여기에 더해, 그 위원회는 다른 EU 국가에서 휴대전화를 이용하기 위해 유럽 사람들이 지불하는 로밍 요금을 점점 줄여나갔다. 다음 인하는 7월 1일로 예정되어 있고 책임자인 Neelie Kroes는 궁극적으로 이를 폐지하기를 원하고 있다. 치열한 경쟁과 규제 압박은 유럽 소비자들이 미국에서보다 훨씬 낮은 가격을 누릴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기업들은 이러한 가격 인하가 새로운 기술에 투자할 여력을 없게 만든다고 불평한다.

유럽은 3G 네트워크 구축에 미국보다 훨씬 앞섰지만, 차세대망 구축에는 뒤져있다. 몇 기업들이 이 위원회의 회장인 Jose Manuel Barroso에게 더 관대한 규제 제도를 바라는 탄원서를 최근 보냈다. 가격 인하 만큼이나 새로운 기술에 대한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하는 Kroes 씨는 기업들이 유럽 어느 국가에서나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 있게 하는 “여권”을 가지게 되길 원한다. 이는 아마 그들에게 범유럽 스케일을 가지게 할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어떻게 동작하게 될 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어쨌든, 통신사들은 벌써 자신들이 네트워크를 보유하지 않은 다른 국가의 네트워크 공간을 임대하고 있다.

대서양 횡단 연결

이 모든 것들이 유럽의 통신사들을 대서양 건너편으로 부러움의 눈길을 보내게 만든다. 미국의 통신 시장은 AT&T와 Verizon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모바일 시장에서는 보다폰이 45%를 소유한 Verizon Wi
reless에 의해) 그들은 케이블 TV 기업과 공유하는 거대한 유선 광대역 시장도 가지고 있다. 그 두 거인에게 호기로운 라이벌들이 등장했는데, 최근 도이치텔레콤의 미국 모바일 지사에 의해 인수된 MetroPCS의 형태, 또는 일본의 Softbank에 의해 인수될 것으로 보이는 Sprint가 그들이다. 하지만 이들은 두 거인에 비하면 너무도 작다. AT&T와 Verizon은 또한 가장 좋은 4G 네트워크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있고, 그 동안의 많은 투자를 통해 고객에게 더 많은 비용을 부과할 수 있게 했다. 

그 동안 이 미국 기업들은 유럽을 주시해왔고, 그들의 경험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AT&T는 텔레포니카에 대한 처리 방법을 어떻게 여기고 있는지 스페인 정부에게 문의해왔다고 한다. 한 유럽의 경영진은 미국 기업들이 타 지역에도 정중한 문의를 (하지만 공식적이지 않은) 계속 해왔다고 말한다. 다른 비 유럽 국가들도 기업 합병의 중개인이 될 수 있다. Hutchison Whampoa는 가능한 모든 곳에서의 인수에 관심이 있다. 작년 멕시코의 통신사 America Movil은 곤경에 빠진 네덜란드의 통신사 KPN와 Telekom Austria의 지분을 인수했다. 하지만 두 기업 모두 주가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 네덜란드의 4G 주파수 경매가 예상치 못하게 비싼 가격에 낙찰된 이후, KPN은 지난달 4G 주파수 대역 30억 유로의 주주할당발행을 통한 증자를 했다. 누구에게나 이 산업에서 큰 돈을 벌기에는 아직도 너무 이른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