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을 가지는 것에 대하여

스티브 잡스가 죽었을 때, 그를 뛰어난 비즈니스 맨이자, 창업자이자, 리더이자, 디자이너로 소개한 많은 매채들을 봤다. 하지만 어디도 그를 철학자로 소개한 곳은 없었다. 내가 봤을 때, 그는 현대의 가장 대중적인 철학자였다. 그가 만든 소프트웨어나 Gaget들은 철두철미하게 그가 가지고 있는 철학의 현시이며, 그는 독불장군 처럼 군림하면서 수만명이나 되는 조직을 그의 머리 속에 있는 것을 현실화 시켜 사람들이 만지고 열광하고 돈을 내게 하기 위한  도구로 이용할 수 있을 만큼 영악했다.

그의 성공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한 시대의 대중이 요구하는, 혹은 선호하는 근본적인 철학적인 가치가 있다. 그가 특출나게 잘했던 디자인이던, User Interface던, 대중의 욕망을 움켜쥐는 기술이던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것은 여러가지 형태가 될 수 있겠지만 사실 그 기저에는 어떤 철학적인 가치가 자리잡고 있음을 본다.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그런 것들에 딱 부합하는 무엇을 만들어 내었건, 혹은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사람들이 이에 열광하게 했건 말이다.

따라서 한 시대에 인간이 창조한 모든 것에서 놀라울 만큼의 유사성을 발견한다. 전혀 다른 학문과 산업의 영역에서 발생했던 속성을 전혀 연관성 없을 것 같은 분야에서 차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나는 앞 단락의 근거로써, 이는 위에 쌓아 올려져 있는 것이 아닌 저 아래의 무엇인가가 일맥 상통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그것을 철학이라고 이름 붙인다. 이는 사람들이 아주 미세한 부분의 가치 판단을 할때에 까지 알게 모르게 영향을 미친다.

철학적으로 기본이 되는 자신만의 관점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세상의 어떤 현상을 재단하고 판단하고, 그에 따른 나의 행동을 결정함에 있어서 자신이 이용할 철학을 가지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싶다. 세상은 수학 교과서가 아니므로 옭고 그름의 문제가 아닌 수없이 연속되는 가치 판단의 문제들로 이루어져있다. 따라서 모두가 공유하는 어떤 Ground가 존재하지 않으며 사람들은 각자 자신만의 철학(Ground)로 세상을 살아가게 된다.

이 철학이 다른 사람의 것이 아닌 자신의 판단과 경험에 의해 다져진 것이고, 이를 모든 경우에 엄격하게 적용할 용기가 있으면 당당하게 자신의 인생을 살고 있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스티브 잡스가 그랬던 것처럼 다른 사람은 이런 사람은 Maverick이라고 비난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어떤 명목적인 신념을 가지고 판단하고 행동하는 사람은 인생에 있어서 놀라울만큼의 정렬성을 가진다. 믿어지지 않지만, 100%의 효율성을 내는 내연기관 처럼 말이다.

다만 몇가지 이러한 관점과 철학의 문제에 있어서도 생각해야 할 것이 있다.

첫 째로는 이 관점이 시시각각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이를 두려워해서도 안된다. 영원히 변하지 않는 것이 없는 것처럼 내가 가지고 있던 이 철학도 경험이 쌓이고 몰랐던 새로운 것을 알게 되면서 당연히 변하게 된다. 정치적 색이 바뀌고 좋아하지 않았던 사람에게 호감이 가는 일을 두려워해서는 안되고, 저항해서는 안된다. 중요한 것은 내가 전력을 다해 악셀레이터를 밟고, 개솔린을 완전 연소 시키는 것이지, Steering Wheel을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둘 째로 이 관점은 철저하게 현재에 세워야 한다. 미래를 걱정하거나, 과거에 미련이 남아서 현재 내가 가지고 있는 생각에 영향을 주어서는 안된다. 내가 제어할 수 없거나, 또는 내가 진정으로 바라는 일이 아닌 것은 배제하고 현재 나의 모습에 100% 충실한 철학적 가치를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

세 번째로 모든 매체를 볼때 그것을 이 철학과 연결 시키고 끊임없이 대화를 주고 받으며 발전시켜나가려고 노력해야 한다. 책을 읽더라도 이 것이 나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지, 시사하는 점은 무엇인지, 내가 보고 배울 만한 점은 무엇인지에 대한 꺠어있는 눈을 가져야 한다. 이는 동물적인 감각이 아니라 진지한 사색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 일로 현대의 인스턴트식 정보 습득에서 가장 이루기 어려운 부분이다.

인생을 어디로 이끄는 근본적인 힘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철학에서 나온다. 따라서 조바심을 느끼거나 서두를 필요도 없다. 무엇을 굳게 믿는 사람은 결국 자신이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범위 안에서 이 원하는 것과 정렬성을 가지도록 만들어 지게 되어있다. 그러한 철학이 배척받거나, 빛을 못본들 또 어떠하랴. 각자의 인생은 대하소설을 쓰던, 간결한 산문을 써내려가던, 나름대로의 역할로 완결 짓는 것에 의미가 있다.

 

 

[Economist] 정치가들을 풍자하기 (Lampooning the pols)

Lampooning the pols

지금까지 논외였던 대상에게까지 번지고 있다

Jan 21st 2012 | SEOUL | from the print edition

북한의 김일성 왕조를 조롱하는 것은 오랫동안 (구소련 연방 밖의) 풍자가들의 결과물이었다. 코메디 프로그램 “Team America”에서의 고 김정일의 묘사를 생각해보거나, 또는 그의 아들에 대한 헌정 웹사이트 “뭔가 보는 김정은”을 검색해보자. 하지만 이제 비무장 지대 남쪽의 남한도 예상외로 풍자의 붐이 새롭게 일어나는 장소가 되고 있다.

25년 간의 민주주의에도 불구하고, 남한의 유교문화는 상의하달식이고 경의를 표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권력자에 대한, 특히 비꼬는 풍자는 사회적 충격을 주는 지속적인 힘이 있었다. 여기에 지나치게 엄격한 명예훼손 법은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 비록 당신의 비판이 사실로 밝혀지더라도 유죄로 판명될 수 있다.

이제 한 용기 있는 반역자가 그의 팟캐스트를 통해 모든 것을 바꾸고 있다. 작년 4월 김어준은 보수적인 대통령 이명박  “각하”를 비웃기 위한 목적으로 특별히 “나는 꼼수다”를 만들었다. 그는 1000만 명의 청취자가 있다고 주장하고 이것이 사실이라면 이것은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Podcast 이다.

이 팟캐스트의 줄임말 “나꼼수”는 떠들썩한 유머와 조사할만한 부정부패의 폭로들로 뒤섞여 있다. 김어준씨는 이 조합을 “약에 설탕을 타는 것”에 비유한다. 이 약은 강력할 수 있다. “나꼼수”는 현 여당인 한나라당의 한 국회의원의 사무실에서 10월 서울 시장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치려는 목적으로 선거 관리 위원회의 웹사이트를 해킹하려는 공격을 지시했다는 의혹을 폭로했다. 이 스캔들은 4월에 있을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에 커다란 해를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김어준씨는 나꼼수가 음지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주류 미디어의 자유가 없기 때문이라고 믿는다. 미국의 프리덤 하우스는 한국의 언론에 대해 “국가 검열의 증가”와 “정부의 뉴스와 정보 컨텐츠에 영향력을 미치려는 시도”를 인용하며 오직 “부분적 자유”라고 묘사한다. 텔레비젼과 출판매체의 언론인들이 권력자들에게 책임을 추궁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대안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것이다.

그나마 현재는 “나꼼수”와 같은 것들의 영향이 주류 유머로까지 퍼져가고 있다. 이들로 인해 텔레비젼 코메디가 지루하고 한 물 간 것처럼 보이기 시작했다고 한 20대의 여성 팬을 말한다. 미국의 현 상황에 대한 코메디 프로그램 “Saturday Night Live”의 한국판과 같은 것이 12월 시작됐다. 슬랩스틱이나 안전한 주제를 다루는 것으로 알려진 장수 꽁트 쇼 “개그 콘서트”는 정치적인 주제에서 웃음을 이끌어내기 시작했다.

지난 11월 전 한나라당 의원 강용석씨는 “개그 콘서트”의 한 코메디언을 “국회에 대한 명예훼손”으로 고소했다. 이는 정치가가 되기 위해서는 필요한 사람을 매수하고, “전통 시장에 딱 한번 방문해서 할머니랑 악수 한 다음 국밥 한 그릇만 먹으면 됩니다. 평소에는 안 하던 일일지라도” 라는 발언에 대한 대응이었다. 이에 대해 겁먹기는커녕 이 쇼의 작가는 한 에피소드 전체를 강용석 의원의 고소를 조롱하는 내용으로 채워버렸다.

이 국회의원은 고소를 취하했지만, 김어준의 동료 중 한 명은 법에 대해서 그렇게 운이 좋지는 못했다. 지난 달 “나꼼수”의 멤버 중 한명인 정봉주씨는 대통령 이명박이 과거의 사기 계획에 연루되어 있다는 잘못된 사실을 유포한 혐의로 12개월 형을 선고 받았다.

바뀌어가는 현실에 대한 표시로, “나꼼수” 그 자체가 이제는 풍자의 대상이 되고 있다. MBC 방송국은 “나는 하수다”라 불리는 “나꼼수”의 조롱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우리는 주류를 패러디하고, 이제는 주류가 우리는 패러디 합니다” 김어준씨는 사무적으로 말한다. 그는 고소를 하지는 않을 것이지만 그의 각하를 철저하게 주시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