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news is bad news
리포터들이 침묵을 강요당한 것에 불평하다
Mar 3rd 2012 | SEOUL | from the print edition
파업하기 좋아하는 한국에서 조차, 텔레비젼 저널리스트들의 업무 중단은 주목할만하다. 현재 1987년 민주주의의 도입 이후 최초로 주요 방송국들의 리포터들이 그들의 마이크를 내려놓았다. 문화방송(MBC)의 저널리스트들은 지난 한달간 파업 중이다. 그들의 라이벌 국영 방송국 KBS의 직원들도 3월 5일부터 파업 예정이다.
불만의 원인은 정부의 영향력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작년 미국의 프리덤 하우스에서는 한국의 미디어에 대해 “자유”에서 “부분적 자유”로 등급을 낮추었다. 이 모니터링 그룹은 증가한 검열과 한국의 지배적인 미디어 기업의 경영을 대통령에 입맛에 맞게 하기 위한 낙하산 인사를 비난했다. 이러한 현상은 2008년 이후 이명박 대통령 취임이후 현저히 증가했다.
MBC의 리포터 중 90% 이상이 파업에 동참했고, 6개의 뉴스 프로그램 중 3개가 중지됐다. 파업 참여자들은 정부측 인사로 분류되는 김재철 사창의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그들은 김재철 사장이 이명박 정부에 대해 편파적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그들은 MBC가 자유 무역에 대한 반대나 이명박 대통령의 퇴임 후 사저를 위한 토지 구입 논란 등에 대한 축소된 보도로 인해 정부에 대한 비판을 제대로 하고 있지 못하다고 주장한다.
2월 말 MBC의 보도국장 두 명은 파업을 지지하여 그 자리에서 물러난다고 발표했다. 김재철 사장은 법적인 조치를 취하며 저항하고 있다. KBS 또한 민형사 상 처벌 카드를 꺼내들었다. 이러한 조치가 대세를 바꿀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3번 째의 뉴스 방송국 YTN 의 리포터들도 파업에 동참하기로 결정했다. 한국 최대의 뉴스 제공사 연합도 파업에 동참할 준비를 하고 있다.
이 분쟁은 4월 11일 있을 국회의원 선거 보도에 영향을 줄 것이다. MBC와 KBS의 리포터들은 최소한 그때까지는 업무에 복귀하지 않을 것임을 선언했다. 두 방송국의 열성적인 파업 동참자들은 그들만의 선거 방송을 제작해 온라인으로 배포하고 있다.
이러한 보도는 적어도 편견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것이 정부에게는 문제이다. 정부에 대한 비판을 주류 미디어에서 금지시키면 이는 온라인에서 종종 더 과격한 형태로 나타난다. 대한민국의 현안에 대한 시각에서 가장 인기 있는 소스 중 하나는 “나는 꼼수다”로 이는 도발적인 반정부 Podcast이다. 이의 설립자는 주류 미디어 들이 대통령에 대한 비판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이 방송을 만들었다.
공직자들은 종종 블로거나 독립 뉴스나 가쉽을 다루는 웹사이트들로부터의 독설 가득한 공격에 대해서 불평한다. 한국 성인의 4/5가 온라인 뉴스를 보는 현재 상황에서 이러한 불평이 이해가 된다. 만약 공직자들이 주류 저널리스트들에게 그들이 원하는 것을 보도하도록 허락한다면 오히려 이로 인해 그들이 보호 받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