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에게 관심 가지기

나는 왼손잡이다. 밥을 먹을 때 가능하면 가장 왼쪽에 앉는 것이 편하고 마주 앉아 식사를 하면 상대편과 같은 방향의 손에 젓가락을 들고 있는 일이 대부분이다. 같이 밥을 먹는 사람은 뭔가 이상하거나 어색하다는 것을 쉽게 눈치 채는 사람과 아닌 사람이 있다. 어떤 대학교 친구는 몇 년간 총 수강 학점 보다 월등히 많은 수의 밥을 함께 먹었음에도 내가 왼손잡이 인줄 알아차리지 못했다. 내가 밥을 코로 먹었으면 알았을 라나?

일반적으로 다시 표현하면 ‘마주 앉은 사람’에게 신경을 기울여 세심하게 관찰하고 듣고 이해하고 대화를 한땀 한땀 엮어 나가는 사람과 스마트폰에 더 집중하고 몸은 비틀어 앉고 주위의 다른 멋진 이성을 쳐다보는 일이 잦은 사람. 내 앞에 앉은 사람은 이 둘 사이의 어딘가에 위치하게 마련이다.

우선의 조금의 반성부터 해야겠다. 나 또한 생각이 복잡할 때 (요즘?) 그렇게 적극적인 리스너가 되지 못한다. 그래도 문득문득 똑바로 정면을 보려는 노력을 다잡고 상대에게 집중하려 하는 편? 몇 가지 의식적으로 할 수 있는 노력이라면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고 시선은 상대를 향하고, 이야기의 흐름을 따라가고 핸드폰 같은 것은 처음부터 주머니나 가방 속에 넣어두는 사소한 것들은 지키려고 한다.

이렇게 정신을 집중하면 당연히 같은 순간 같은 시간을 더 밀도 있게 공유할 수 있다고 할까? 말에서 생각을 읽고 외모에서 의도를 읽고 행동에서 버릇을 찾는 그런 세세하게 알아가는 무엇 인가들이 조금씩 쌓여나가는 것이 관계를 발전시키는 바탕이 되는 것이고 이를 위해서는 이러한 ‘노력’이 필수적으로 그 역할을 하는 것임을 느낀다. 아직 습관이 되지 않아서 아차 하는 때도 종종 있지만 말이다.

나에게도 상대가 세세한 관심을 가져주었으면 좋겠다. 내가 의도적으로 말하거나 가볍게 남긴 표식들을 잘 발견하고 따라와 준다면 ‘아 이사람 나와 맞는구나’라는 느낌을 더욱 받을 지 모르겠다. 새로 산 신발이나, 계산할 때 꺼내든 신용카드에서부터 같이 이야기를 풀어 나갈 수 있는 사람이라면 그걸로 충분하다. 나에게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는 사람이니까.

사람이 사람에게 가질 수 있는 감정이 어느 정도 진행되고 나면 이성과 노력의 끈을 떠나 하늘로 날아가 버려 더 이상은 내 마음대로 할 수 없게 된다. 그 전까지 상대를 알고 관계의 초석을 놓고 출발선 상에 서있는 단계에서는 이러한 이성적 조절이 관계가 발전될 방향타 역할을 할 수 있는 것 같다. 최선을 다해 매듭을 묶고 하늘을 향해 바람이 부는 곳으로 걸어나는 노력이라면 기꺼이 하자.

잘하는 것 하나 찾기 힘든 나는

이성과 감성의 중간 정도에 위치하도록 적당히 술을 마시고는 다리가 아프기 전에, 하지만 차가운 바람은 충분히 느낄 만큼 충분히 걸었다. 그 동안을 곰곰히 생각했지. 나는 어떤 방향으로 뛰기 위해 이렇게 몸을 사리는 걸까.

잘 하는 것 하나 없는 나는 그 답을 찾기가 어려웠다. 잘 하는 것을 더 잘하게 만들 것인가 아니면 못하는 것을 잘하게 만들 것인가 하는 문제를 고민하고 있다고 생각해왔는데 사실 이렇게 더 큰 세상에 나오고 더 많은 사람을 만나보고 나니 내가 잘 하는게 무엇인가 하는 고민부터 다시 하기 시작했다. 무엇을 나보다 잘하는 사람은 항상 많아서 엄격한 나는 내 자신을 세상에 자신있게 내보일 용기조차 사실 얻기 힘들다.

경쟁력이 없어서 출시일을 하루 이틀 미루는 전자 제품 처럼 그냥 뭔가에 도전할 시일을 이틀 삼일 까먹는 모습을 나에게서 본다. 머리가 아프지만 잘 모르겠다. 드래그 레이싱이나 철로처럼 핸들을 틀 이유가 없는 인생이면 좋겠지만 사실 전체적으로 보면 그렇다고 최단거리는 아닌 신기한 세상살이라는 것이다.

쓸데 없는 것에 시간을 쓴다는 생각이 쓸데 없는 것을 할때에는 항상 든다. 뭔가 의미 있는 것을 하는 시간에는 이게 의미 있는 것인지 항상 의심스럽다. 그래서 의미 있는 것들을 이것 저것 조금씩 해버리고는 자위하지만 사실 이렇게 Fragment 된 시간들은 뒤죽박죽이 되어버린 깨기 직전의 꿈처럼 내 생활에는 별 영향이, 영양가가 없는 단편들이다.

무엇인가에 일상을 고정시키고 싶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 인생이 다채롭고 다양하고 변수가 많아 졌지만 그 만큼 응축된 에너지는 어딘가에서도 찾기 힘들어졌다. 사실 이렇게 사는 것이 반년전까지만 해도 내가 추구했던 삶에 닮아 있다고 생각하지만 조금씩은 후회가 들기도 한다. 이게 뭐람.

그 축은 무엇이 될 수 있을까. 올해 초부터 고민했지만 아직도 잘 모르겠다. 나를 고정 시킬 수 있는 것은 사람일까 관념일까 미래일까 물질일까. 술은 들이킬 수록 쓰고 정답을 알려줄 룰렛은 점점 더 빨리 돌아갈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