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ist] 웹에서의 거대한 전쟁 (Web-wide War)

Bing and online newspapers
빙 그리고 온라인 신문들

Web-wide war
웹에서의 거대한 전쟁

Nov 25th 2009
From Economist.com

Microsoft opens a new front in its battle with Google
Microsoft가 구글과의 싸움에서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ShutterstockEVEN technology pundits can sometimes be right. Jason Calacanis, an entrepreneur and noted agent provocateur, recently argued that there is a simple solution to the woes of both Microsoft and big media companies. The world’s largest software firm should pay Time Warner, News Corporation and others firms to block Google, the search giant, from indexing their content—and make it searchable exclusively through Bing, Microsoft’s new search service. Media companies would thus get badly needed cash and Bing a chance to gain market share from Google.

최신 기술에 빠삭한 사람들 조차 항상 옳을 수는 없다. 기업가이자 저명한 소식통 Jason Calacanis는 최근 고통을 겪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와 거대 미디어 기업들에게 간단한 해결책이 있다고 주장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소프트웨어 회사인 마이크로소프트가 뉴스 제공 기업 타임 워너와, 다른 기업들에게 거대 검색 기업인 구글이 자신들의 컨텐츠를 인덱싱하지 못하도록 하는데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오직 그들의 새로운 검색 엔진인 Bing을 통해서만 가능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디어 기업들은 이를 통해 간절히 원하던 현금을 확보 할 수 있고 Bing은 구글로부터 시장 점유율을 뺏어 올수 있다. 

This week it emerged that Microsoft and News Corp are talking about just that. Although the discussions may come to naught, or prove a mere ploy in the media firm’s ongoing negotiations with Google, the news caused a stir. It is a sign not only of how far Microsoft is willing to go in order to turn Bing into a serious rival to Google, but also of how the entire internet could well evolve.

마이크로소프트와 News Corp가 이를 논의하고 있다는 사실이 이번 주 밝혀졌다. 이 논의가 무로 돌아갈 수도 있고, News Cops와 구글간에 진행되고 있는 논의 속의 얕은 술수 일 수도 있지만, 이 뉴스는 혼란을 야기시켰다. 이 뉴스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얼마나 Bing을 Google의 본격적인 라이벌로 만드는 것을 원하는 지 뿐 아니라 인터넷 전체가 얼마나 잘 진화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징표다.  

It should come as no surprise that News Corp would be the first to discuss such a deal. Rupert Murdoch, its boss, has long criticised Google for “stealing” his newspapers’ stories by pasting links to them on Google’s own site. He has also announced loudly and often that he wants to charge for more of the content that his firm puts online. What is more, he needs to renegotiate the deal that in 2006 gave Google the exclusive right to place search ads on MySpace, a social network owned by News Corp. Back then Google agreed to shell out $900m over three years for the privilege, although it may in the end pay less, as traffic on MySpace has not met the targets specified.

News Corp가 이런 거래의 협상에 나선 첫번째 기업이라는 사실은 놀라운 것이 아니다. 이 기업의 총수 루퍼트 머독은 구글이 자신들의 사이트로 News Corp의 신문지상의 기사 링크를 복사해가는 것은 도둑질이라고 오래 전부터 비난해 왔다. 그는 또한 자주 강경하게 온라인으로 게재되는 자신들의 컨텐츠에 더 많은 요금을 부과할 것이라고 말해왔다. 흥미로운 사실은, 그는 2006년에 구글에게 주었던 자신들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마이스페이스에 독점적으로 광고를 실을 수 있는 권리에 대한 재협상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당시 구글은 3년간 9억 달러에 독점권을 사는데 동의했지만, 마이스페이스에 대한 트래픽이 예상치를 밑 돌면서 결국 손해가 되었다.

Google is unlikely to want to pay such a high price again, given that declining traffic and thus disappointing advertising revenues. Google also knows that Mr Murdoch will think twice before blocking the biggest source of traffic for his newspapers’ websites. More than a quarter of all visitors to the Wall Street Journal’s site, for instance, come from Google, which is in line with most other newspapers, according to Hitwise, a market-research firm.

마이스페이스의 트래픽이 감소하고 실망스러운 광고 이익을 보이면서 구글은 이번에는 그렇게 많은 돈을 지불하길 원하지 않는다. 또 머독이 그들의 온라인 신문 사이트의 가장 큰 유입원인 구글을 쉽사리 차단시키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예를 들어 시장 조사 기관 Hitwise는 월 스트리트 저널 사이트 방문자의 4분의 1 이상이 구글을 통하며 이는 다른 뉴스 사이트들도 크게 다르지 않다고 밝혔다. 

Microsoft, for its part, cannot afford to let Google rule the search business and, by extension, a big part of the online advertising that is expected pay for many services in the age of cloud computing. In recent years the firm has invested billions in its search capabilities. With Bing, it has at last come up with a plausible alternative, which works better than Google for some searches, such as comparing prices of consumer electronics or looking for cheap flights. To boost Bing’s market share, Microsoft in July agreed with Yahoo!, another online giant, to merge both firms’ search activities.

마이크로소프트는 그들의 영역을 지켜야 하므로 검색과, 더 나아가 클라우드 컴퓨팅 시대의 많은 서비스을 위한 온라인 광고의 많은 부분이 구글에 의해 규제되는 것을 두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최근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러한 분야에 수천만불을 투자했다. Bing은 가전 제품의 가격비교나 저가 항공권을 검색하는 등, 구글 보다 나은 성능을 보이는 몇 분야 에서 환영받는 대안으로 떠올랐다. Bing의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 마이크로소프트는 올해 7월 또 다른 온라인 거대 기업 야후와 양 기업의 검색 부문을 통합하기로 했다.

Yet all this may not be enough. Since its launch in June, Bing’s market share has grown by two percentage points to nearly 10% of all searches in America, but Yahoo!’s has dropped by the same figure to 18%. Exclusive content deals may just be what Microsoft needs to reach a combined 30%, which some experts see as the minimum to make a dent in Google’s business. Microsoft appears ready to spend whatever is needed: up to 10% of the company’s overall operating income over the next five years, according to Steve Ballmer, the firm’s boss. This would, all things being equal, add up to some $11 billion.

아직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6월의 런칭 이후, Bing의 시장 점유율은 단지 2퍼센트가 올라 북미의 검색 시장에서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야후의 경우 오히려 같은 양만큼 하락해 18% 유지하고 있다. 배타적 컨텐츠 사용권은 이 둘을 합쳐 30% 점유율을 만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이 수치는 전문가들이 구글에 영향을 주기 위한 최소한의 필요 조건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필요하다면 향후 5년간 회사의 전체 운영 자금의 10%를 아낌없이 투자할 것이라고 CEO 스티브 발머는 밝혔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이의 총합은 1억 1천만 달러에 달할 것이다.

Yet what looks like good news for media firms is rather worrisome for champions of an open internet. To them, exclusive content deals are another big step away from an online world with few borders, where everybody plays according to the same rules. Already, they say, Apple dictates which applications are allowed to run on the iPhone, Facebook tries to discourage members from surfing elsewhere, and Google’s navigation software is only free for users of its own operating system for smart-phones. “We’re heading into a war for the control of the web—and against the web as an interoperable platform”, warns Tim O’Reilly, the internet guru who coined the term “web 2.0”.

미디어 기업들에게 좋은 소식은 오픈 인터넷의 강자들에게는 걱정 스러운 소식이다. 그들에게 이러한 배타적 컨텐츠 이용권은 모든 이들이 같은 규칙으로 경쟁하고, 자신만의 테두리가 없는 온라인 세상에서 멀어지는 커다란 발걸음이다. 이미, 애플은 자신들의 iPhone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허가제로 운영하고 있고, Facebook은 회원들이 다른 곳으로 벗어나는데 제한을 두고 있다. 구글의 네비게이션 소프트웨어는 오직 그들의 스마트폰 운영체제를 사용할 경우에만 무료로 제공된다. “Web 2.0” 이라는 용어를 주창한 인터넷의 거장 Tim O’reilly는 “우리는 상호 운영 가능한 플랫폼 웹과 이 웹에 저항하는 사람들 간의 주도권 전쟁으로 향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Mr O’Reilly is definitely on to something. The question, however, is whether this “war 2.0” is really so unwelcome. A handful of well-funded and robust platforms locked in heated competition could be better for consumers and generate more innovation than Mr O’Reilly’s vision of an internet made of many “small pieces loosely joined”.

O’Reilly의 주장도 확실히 일리가 있다. 하지만 의문점은 “이 War 2.0이 반드시 그렇게 환영할 만한 일이 아닌가?” 라는 것이다. 과열된 경쟁 속에서 소규모의 적절한 투자와 견고한 고정화된 플랫폼이 소비자에게는 더 나을 수 있고, O’Reilly의 작은 조각들이 서로 느슨하게 연결된 인터넷의 비젼보다 더 많은 혁신을 이룰 수도 있다.

[Economist] 중국에 퍼지는 위조 휴대전화 (Counterfeit handsets proliferate in China)

Counterfeit handsets proliferate in China
중국에 퍼지는 위조 휴대전화

Talk is cheap
저렴한 통화

Nov 19th 2009 | SHANGHAI 2009년 11월 19일 | 상하이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Chinese firms are making and exporting ever more suspect phones
중국 기업들은 더 많은 위조 휴대전화를 제조, 수출하고 있다.

Imaginechina

CHINESE consumers appear fixated with Apple’s iconic iPhone. It draws throngs of eager buyers in Shanghai’s Xujiahui computer market. Similarly, at the Canton Trade Fair in October, vendors hawking familiar-looking silver and black slabs were convulsed in crowds, in sharp contrast to the deserted booths of rival brands, where lonely salesmen slurped disconsolately at noodles. So how can it be that China Unicom has seen dismal initial sales under its exclusive arrangement to sell the iPhone in China?

중국 소비자들은 애플사의 아이폰에 집착하는 듯이 보인다. 상하이의 Xujiahui 컴퓨터 판매점에는 열성적인 소비자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었다. 이와 유사하게, 10월의 Canton 무역 전시회에서는 익숙한 은색, 검은색 납작판 모양(iPhone의 형태)을 노리는  벤더들이 가득했고, 극명하게 대비되게 그의 쓸쓸한 경쟁자들의 부스는 외로운 세일즈맨이 절망적으로 국수만 먹고 있었다. 차이나 유니콤이 중국에서 획득한 iPhone에 대한 독점 판매권 하에서의 절망적인 초기 판매량을 보면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The explanation lies in China’s huge “grey” market for handsets, which includes some genuine phones imported without the manufacturer’s blessing but is mainly comprised of knock-offs. The iPhones at Xujiahui fall into the former category; those at the trade fair into the latter. Illicit phones comprise a staggering 40% of Chinese firms’ production, and 13% of the world’s, according to iSuppli, a research firm. It reckons China will produce 145m of them this year, up by almost half since 2008. This has hit sales of legal phones.

이에 대한 설명은 중국의 거대한 휴대전화 "회색" 시장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시장에는 제조업체의 허가없이 수입된 정품들도 일부 있지만, 대부분은 모조품들로 이루어져 있다. Xujiahui에서 iPhone은 전자로 분류된다. 앞서 무역 전시회에서의 상품들은 후자로 분류된다. 조사기관 iSuppli에 따르면 놀랍게도 이러한 불법적인 단말들은 중국에서의 단말 제조 중 40%를 차지 하고, 세계적으로 보았을 때 13%를 점유한다. 중국에서는 올해에도 이러한 불법 단말 1억 4500만개가 제조 될 것으로 측정되며, 2008년 이래 거의 50%가 증가했다. 이는 정품 휴대단말의 판매에 큰 타격을 입혀왔다.

Grey-market handsets are often simple and cheap. But legitimate manufacturers remain quite competitive at the bottom of the market, so grey-market firms are increasingly offering more sophisticated devices at dramatic discounts to branded smart-phones, says BDA, a consultancy in Beijing. They have developed distribution networks across the developing world.

회색시장의 휴대전화들은 단순하고 저렴하다. 하지만, 베이징의 컨설팅 기업 BDA에 따르면 합법적인 제조사들도 여전히 저가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회색 시장 기업들은 더욱 더 복잡한 기기를 브랜드 제품의 스마트폰에 비해 훨씬 더 낮은 가격에 납품하고 있다고 한다. 그들은 개발도상국들을 상대로 유통망을 구축해왔다. 

Grey-market manufacturers are not just copycats. Many of them add innovations to the devices they are counterfeiting. Some fake iPhones in China, for example, can take two SIM cards, and thus handle two different numbers through the same handset. Chinese grey-marketeers have secured half the Ghanaian market with phones that can do nifty things like receive television broadcasts, says BDA. In Kenya, Chinese models (including an imitation BlackBerry) feature images and quotes from the country’s favourite grandson, Barack Obama. A model in the shape of a dagger is popular in the Gulf states.

회색 시장 제조사들이 단순히 제품을 카피하는 것만은 아니다. 그들의 상당수는 복제 대상에 비해 더 창의적인 기능을 추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몇몇의 중국에서 복제된 iPhone은 두개의 SIM 카드를 탑제 가능하고 따라서 같은 휴대전화에서 두개의 번호를 사용 가능하다. BDA에 따르면 중국의 회색 시장 판매자들은 TV 방송을 수신하는 등의 멋진 기능을 가진 휴대전화로 가나 시장의 절반을 점유했다. 케냐에서 중국 휴대전화 (블랙베리의 복제품을 포함한) 들은 케냐가 자랑하는 후손 버락 오바마의 이미지나 그가 한 말들을 떠올리게 한다. 단검 모양을 한 제품은 걸프지역에서 인기 있다.

Grey-market manufacturers also pride themselves on their ability to bring models to market quickly. An iPhone clone named a “HiPhone” appeared in China within six months of the release of the original iPhone in America. Security at the factory where iPhones are made in southern China is legendarily tight. In July a man working for Foxconn, one of Apple’s subcontractors, was said to have committed suicide after a prototype he was responsible for disappeared.

회색 시장의 제조업체들은 시장에 발빠르게 새로운 모델을 출시하는데도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 iPhone이 미국 시장에 처음 출시된지 6개월만에 그의 복제품인 "HiPhone"을 출시했다. iPhone이 제조되는 중국 남부의 공장의 보안은 유래없이 삼엄했다. 7월에는 Apple의 하청업체 중 하나인 Foxconn의 한 직원이 그가 책임지던 iPhone 프로토타입의 분실 이후에 자살했다고 전해졌다.

Given their low prices and added features, the spread of grey-market phones might seem unstoppable. But as iSuppli notes, components for the handsets come from brand-name producers which are likely to become less tolerant of pirates. Grey-market phones are beginning to worry governments, like China’s, that make great efforts to police every form of communication, because they lack the identification codes of legitimate phones and are therefore untraceable. But the biggest impediment may simply be a lack of quality control. BDA points out that despite China’s booming exports of grey-market phones, domestic sales have started to fall. Customers have realised that they break easily and come with no guarantees.

저렴한 가격과 추가된 기능들로 회색 시장에서의 휴대단말 확산은 멈출 수 없어 보인다. 하지만 iSuppli에 따르면, 브랜드 제품의 휴대단말들의 부품은 예전 처럼 복제에 대한 안전 장치를 갖추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중국과 같이 모든 형태의 통신을 검열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국가에서는 합법적인 단말과 같이 인식코드가 없는 회색 시장 단말들이 추적이 불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정부 차원의 조치가
취해지고 있다. 하지만, 가장 큰 장애물은 품질 관리의 부재 때문이다. BDA는 이러한 회색 시장 단말들의 폭발적인 수출에도 불구하고, 내수 판매는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소비자들은 이 단말들이 쉽게 망가지고, 보증 수리가 불가능 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