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unning

컴퓨터로 각종 문제를 풀어내는 알고리즘이라는 분야를 살펴보면 Prunning이라는 단어가 나온다. 사전에서 찾아보면 ‘가지치기’라는 의미지만, 실제 이 분야에서 쓰이는 의미는 싹수가 노란 놈은 먼저 잘라낸다는 뜻이다. 실제로 문제를 풀때 이런 답이 좋을까? 저런 답이 좋을까? 가능한 답 모두를 생각하지 말고 간단하게 정답이 아닌 것을 알 수 있는 답들은 미리 제거를 하고 나머지들만 가지고 이것 저것 따져보겠다는 것이다. 물론 시간 절약을 위해서 쓰는 방법. 100개 중에 하나 고르는 문제라면 뭐 하나하나 정답일지 따져 볼 수 있겠지만 100이 100번 곱해진 수만큼 가능한 답이 있으면 어느게 정답인지 찾는 문제는 아무리 컴퓨터라도 우주가 끝날때까지 못푼다에 돈을 걸어야 한다. 컴퓨터로 뭘 해보겠다는 사람들에게는 흔하디 흔한 것이 이런 커다란 문제들이다.

스쿠터가 펑크난 이야기를 해야겠다. 보통 때보다 무거워서 그런지, 맨홀을 밟아서 그런지, 바람이 원래 없어서인지. 잘 타고가다가 갑자기 흔들흔들 하면서 뒤가 푹 꺼져버렸다. 처음 겪는 상황이라 바퀴에 뭐가 붙었나 했는데 황급히 세우고 바퀴를 보니 마음 아프게 기운없이 쪼그라든 모습. 이를 어쩌나. 집에까지 끌고가는것도 큰일이지만 내일도 타야되는 스쿠터가 망가진 것이 문제요, 집 근처에 적당한 수리 센터를 알지 못하는 것도 곤혹스럽고, 게다가 단골 수리센터는 스쿠터를 밀고 고개를 넘어야 한다는 것이 걱정이었다. 저번에 고생고생해서 끌고 넘었던 기억이 다시는 경험하기 싫은 사건으로 남아있고 게다가 이번에는 바람마져 빠진 뒷바퀴라 더욱더 무겁게 느껴질텐데. 어찌해야될까. 컴퓨터가 다루는 문제 만큼은 아니지만 내 머리가 다루기에는 꽤나, 정말로 꽤나 큰 문제다.

내 스스로 고칠지 수리 센터에 맡겨야 할지, 스스로 고친다면 어떻게 고쳐야 하고 무엇이 문제인지는 어떤 방법으로 알아야 할지, 수리 센터에서 고친다면 어디로 가야하는지, 단골집에 가면 뭐가 좋을까? 집에서 가까운 곳으로 가면 뭐가 좋을까? 가격은 각각 얼마나 들고 어떤 방법이 가장 저렴하게 해결할 수 있을지. 왠지 머리가 복잡해지게 만드는 문제를 마주칠때면 내가 늘 하는 것처럼 나는 하나하나 가능한 답들을 찾아가고 우위를 비교했고, 내심 속으로는 이러한 과정을 즐기고 또 시간을 오래 소비했다. 아, 내가 고치는게 더 좋을 것 같고, 장비는 어떤 것을 사야하고, 언제 고치면 그 동안 스쿠터를 못 이용하는데 드는 비용은 어느 정도겠다. 적당히 곱하기와 더하기를 이용해서 괜찮을 것 같은 해결책을 하나 골랐고, 편히 잠들 수 있었다. 물론 이것저것 따져보느라 기운을 빼기는 했지만.

유감스러운 것은 이러한 문제가 계산으로는 측정할 수 없는 변수를 항상 포함한다는 것이다. 이번 사건도, 결국 주말에 예상치 못한 약속으로 스쿠터를 써야 할 일이 생겼고 금요일에 주문해 놓은 수리 공구가 도착하기 전에 근처 센터에 가서 고쳐야 했으며, 무려 바가지를 썼으나 울며 겨자먹기로 고쳐야했고, 도착한 수리 공구는 별 쓸모가 없어진채로 그냥 택배 상자에 담겨있다는 것이다. 괜히 머리를 너무 많이 굴렸고, 또 쓸모 없는 방향으로 굴러갔다. 이럴 것이면 그냥 금요일 아침, 집 앞에 있는 센터에 끌고 가서 적당한 돈을 주고 고치는 것이 최선의 해결책이었다. 이건 가장 단순하게 생각해서 나올 수 있는 답이다. 아니 생각을 별로 하지 않고도 나올 수 있는 답이겠다. 분석적으로 사고하는 사람들은 항상 이게 문제다.

조금 더 빨리 결정을 해야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답들을 Prunning을 통해 빠르게 솎아내야 한다. 그리고 Prunning 한 결과로 나온 답은 별로 예상치 못한 변수가 없을 만큼 단순한 것이 되어야 한다. 판단에는 최소한의 에너지를 써서 빠르게 결정을 내려야 하고 이러한 결정은 실제 앞으로 벌어질 사실과 크게 다르지 않아야 한다. 너무 오랜기간 동안 답을 추적하고 계획을 세우면 결국 에너지를 너무 많이 쓰고 결정은 늦어지며 현실과는 더욱 더 동떨어진 것을 훌륭한 솔루션 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이를 미소지으며 뽑아들고 베게 밑에 깔고 흐뭇하게 잠이 들게 되겠지만 내일 일어났을 때의 상황은 여전히 더 안좋아지고 있을 뿐이다. 세상은 어제의 내가 계산했던 그것이 아니다.

옳은 결정을 한다는 것, 올바른 답을 찾아낸다는 것은 인간에게나 컴퓨터에게나 참 어려운 일이다. 인간은 컴퓨터가 아니기 때문에 어렵고, 컴퓨터는 인간이 아니기 때문에 어렵다. 그러므로 어설프게 분석적인 방법을 따라하기 보다는 확실한 직관에 의존하는 편이 더 나을 수도 있다. 특히, 지식의 유효기간이 더욱 더 짧아지고, 오늘과 내일이 매번 달라지는 요즘은 더 그런것 같다. 근심없는 일상이 계속되기를 원한다면 오늘과 내일만 계산하자. 모래는 우리의 능력 밖이고 도박이다. 

가을

조그만 다이어리에 일주일 마다 있는 미팅의 내용을 기록할때마다 ‘아 뒷장들이 얼마 안남았네’라고 느끼고 올해의 반환점을 돌았음을 실감하고 있다. 또 잠이 덜 깬 아침에 스쿠터를 타고 학교를 오를 때마다 어제와는 다른 쌀쌀함에 사뭇 잠이 깨고는 산이 불러온 빠른 가을을 실감하고 있다. 또 조금 시간이 지나면 온통 단풍잎 휘장으로 갈아입겠지. 작년에 이 장소에 집중하지 못한 마음 때문에 순식간에 변화하는 LED 불빛같은 그 모습을 미처 못보았는데, 올해에는 조금 더 바닥을 보고 앞을 보고 눈을 깜빡이지 말아야지.

늘 두려움을 느낄 때는 자신이 부족하다는 것을 불현듯 인식하게 될 경우이다. ‘아 이 정도 노력으로 충분하겠지’했던 문제가 생각했던 것보다는 훨씬 더 복잡한 것이어서 좌절을 맛볼 때의 경험이라던가. 오래전에 묵혀놨던 미해결의 무엇인가를 꺼내어 자신을 다시 테스트 해보는 일에서 전혀 변하지 않은 자신의 모습을 발견했을 때라던가. 육체의 불변함을 원하는 것과는 다르게 무엇인가 정신적으로 불변하는 것이 오래가면 두려움을 느끼고 변명거리를 찾게 된다.

초조한 마음에도 가는 시간을 붙잡아 둘수는 없고 늘 언젠가는 평가받아야 되는 시기가 오기 마련이다. 초등학교 때의 구구단과 같은 간단한 숫자 들에서 20년의 세월을 거쳐서 어느덧 더 커다란, 어린 시절의 9와 같은 엄청나게 커다란 수가 몇 번이나 곱해진 것 과 같은 크기로 나를 압도하는 어떤 시험이랄까 시련이랄까. 나는 고작 조그만 꼬마에서 고만고만한 키로 자랐지만, 내 앞에는 한시간에서 하룻밤이 되고 책 한권이 되고 한달이 되고 부풀어오른 사전이 되었다.

박태환 선수의 1600M 자유형 경기에서 발견한 것처럼, 모두가 같이 시작하고 모두가 최선을 다하지만, 누군가는 200M에서 지치고 누군가는 400M에서 지치고 누군가는 믿을 수 없게 지치지 않는다. 0.1초에 숨을 참으며 물속으로 뛰어들던 선수들이, 옆 레인을 보며 팔을 더 멀리 뻗고, 발을 더 깊게 차서 앞서 나가려고 애쓰던 선수들이 결국은 양 옆에 아무도 보이지 않는 물 속에서 혼자 터질 것 같은 폐를 억누르면서 그렇게 앞으로 나가는 것이다.

나는 뛰어나지 않기 때문에 미리 해야되고 많이 해야되고 오래해야 되고 또 여분을 준비해야된다. 또 빠르게 가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조금씩 조금씩 변화해 가는 모습을 확인하고 지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꾸준히 자신에게 타일러 왔다. 때로는 오랜 기간을 변하지 않는 자신에 두려움이 생기기도 했지만 그래도 무엇인가 옳은 쪽으로 변화해왔다는 자긍심은 가질 수 있는 위치라고 생각한다. 이 블로그에 아주 오래된 글을 볼때마다 부끄러움에 얼굴이 화끈거린다. 그만큼 변했고 그만큼 성장했다고 느낀다.

20대의 가을에 있다. 겨울을 준비하려면 역시 땔감을 많이 모으고 먹을 것을 저장해 놔야한다. 하나 다행인 것은, 문득 주위를 둘러보면 앞 사람의 등과 뒷 사람의 코 뿐이 보이지 않는 와중에서도 따뜻한 햇살을 비춰주는 20대의 한여름이 고맙게도 곁에 있다는 것이다.